이르면 오는 7월 드론작전사령부가 창설된다. 지난해 북한 무인기에 영공이 뚫린 군이 지난 1월 드론 전담부대 창설 계획을 공개적으로 언급한 지 6개월 만이다.
8일 군에 따르면 합동참모본부는 이르면 7월 창설을 목표로 드론작전사령부 설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창설 준비는 육군 항공사령부 이보형 사령관(소장)을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다. 육군 항공사령부는 육군의 공격·정찰 헬기 전력을 운용하는 부대다. 공군 항공기와 육군의 포병, 드론 및 무인기 전력이 공역(空域)을 어떻게 배분해 맡은 것인지가 주요 과제로 꼽힌다.
군은 드론작전사령부가 자체 전력만으로도 전투나 임무 수행이 가능한 부대로 운영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작전’ 개념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전 운용 개념과 교리를 갖춰야 하는데, 이를 위해 군은 드론이나 무인기 전담부대를 운영하는 우방국들의 사례를 심층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군은 최근 튀르키예의 무인기 여단을 방문해 부대 운용 경험 등을 전수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합참 관계자는 “드론작전사령부의 운용 개념 및 전술은 다양한 국가의 드론 운용 사례를 분석해 발전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북한 무인기는 지난해 12월 군사분계선을 넘어 영공을 침범했다. 특히 대통령 집무실이 위치한 용산 인근 상공까지 침입하고, 대통령 경호를 위한 비행금지구역(P-73)까지 들어온 것으로 드러나면서 군의 부실 대응이 비판을 받았다. 이에 군은 드론·무인기를 공세적으로 운영하겠다는 방침과 함께 드론사령부 창설 계획을 밝혔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