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환경부와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논의

입력 2023-03-07 18:02
7일 박완수 경남지사(오른쪽 가운데)가 도지사 접견실에서 박재현 환경부 물통합정책관과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 현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경남도 제공

경남도가 정부가 추진하는 낙동강 먹는물 공급과 관련 창녕·합천·거창 등 취수지역 주민의 동의와 피해가 없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 했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7일 도지사 접견실에서 박재현 환경부 물통합정책관과 만나 합천 황강 취수와 창녕 강변여과수를 개발하는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 현안에 대해 논의하고 환경부와 취수지역 주민 간의 중재 역할을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은 합천 황강 복류수와 창녕 강변여과수를 각각 45만t씩 개발해 하루 48만t을 경남에 42만t을 부산에 공급하는 내용으로 지난해 6월 기재부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정부 사업으로 확정 됐다.

도는 지난해 8월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청취할 수 있도록 환경부에 민관협의체 구성을 건의해 그해 11월 발족 했고 주민 동의와 대책 마련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환경부가 실시설계비를 집행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날 박 지사는 환경부 관계자와의 대화에서 그동안 창녕·합천·거창 지역을 순방하며 주민들을 비롯한 대책위의 현장 목소리를 청취한 사항을 전달하는 한편 환경부에서 추진하는 타당성 조사 용역의 내실 있는 수행을 주문했다.

이어 박 지사는 “합천과 창녕 지역의 취수 가능 물량과 주민들의 물 이용 부족량에 대한 정밀 분석이 필요하다”며 “타당성 조사 용역 시작단계에서 과업 내용을 검증하기 위해 지역에서 추천한 외부전문가 기술자문단을 환경부가 운영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 정부사업에 대한 취수지역 주민들이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에 대해 신뢰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소통을 당부하며 취수지역 주민대표 중심의 민관협의체 재개를 위해 도의 행정적인 지원도 약속했다.

박 정책관은 “타당성 조사 용역 진행 시 최대한 다양한 대안을 파악해서 피해 없는 대책을 마련 하겠다”며 정부와 지역 간 중재자로서 경남도의 노력과 협조를 요청했다.

박 지사는 “정부가 추진하는 사업의 당위성에 대해 공감하지만 취수지역 주민의 입장과 뜻이 무시되거나 왜곡 되서는 절대 안 된다”며 사업 추진에 대해 타당성 조사를 통해 취수지역 주민들의 동의가 반드시 있어야 하고 피해가 없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