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7곳 “자발적 탄소시장, 탄소감축에 기여”

입력 2023-03-07 14:21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자발적으로 탄소를 감축한 실적을 거래하는 ‘자발적 탄소시장’이 탄소 감축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봤다. 또 기업의 40%는 탄소 감축 제품이나 서비스 등도 실적으로 인정받기를 원했다.

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매출액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374개)의 66.8%가 자발적 탄소시장이 탄소 감축에 기여할 것이라고 답했다.

탄소시장은 국제기구나 정부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하고 배출권의 과·부족분을 거래해 목표를 지키도록 하는 규제시장과 기업·지방자치단체·개인 등이 자발적으로 감축사업을 추진해 얻은 감축 실적을 거래하는 자발적 탄소시장으로 구분된다. 자발적 탄소시장은 2018년 1억6600만에서 2021년 3억6600만t으로 매년 30%씩 성장하고 있다.

기업이 기대하는 자발적 탄소시장의 역할은 감축 활동에 대한 정당한 평가(46.3%)가 가장 많았다. 이어 규제 시장의 보완적 수단(40.6%), 기후테크 기업의 비즈니스 기회 창출(7.0%), 친환경 투자 유도(6.1%) 등 순이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최근 기업의 탄소 감축 책임 범위가 사업장 내 직접배출(스코프1)에서 간접배출(스코프2), 기타간접배출(스코프3)까지 확대되면서 사회 전 분야에서 다양한 감축 활동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사 결과 응답 기업의 40%는 자발적 탄소시장을 통해 탄소 감축 제품·기술·서비스 개발과 판매까지도 감축 실적으로 인정받기를 희망했다. 예를 들어 현재는 국내 반도체 제조업체가 초저전력반도체를 개발·판매해 전력 소비와 온실가스를 줄이더라도 감축 실적으로 인증받기 어렵다. 오히려 초저전력반도체 제조에 따른 추가 공정으로 온실가스 부담은 더 증가하는 상황이다.

기업들이 감축 실적을 인증받길 원하는 이유로는 탄소중립 달성(45.0%)과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활동 홍보(43.6%)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상쇄배출권 확보(26.2%), 국제 이니셔티브 참여 및 대응(17.4%) 순으로 나타났다.

박호정 고려대 교수는 “기업들이 드론, 사물인터넷(IoT), 통합발전소(VPP)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해 탄소 감축에 기여하고 있다”며 “경직된 규제시장에 대한 보완적 수단으로 자발적 탄소시장을 통해 다양한 감축 활동 인센티브를 부여한다면 사회 전반에서 탄소 감축을 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 지원 과제로는 배출권거래제 연계(35.8%)를 꼽았다. 이어 국가 감축목표(NDC)와의 연계(28.4%), 자발적 탄소시장 운영지침 마련 등 신뢰성 확보(21.8%), 민간 주도 시장 운영 보장(14.0%) 순이었다.

대한상의는 지난 1월 기업의 자발적 탄소 감축 활동을 평가해 감축 성과를 인증하기 위해 탄소감축인증센터를 설립했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앞으로 기업이 탄소 감축의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자발적 탄소시장 확대가 필수적”이라며 “대한상의는 정부, 전문가, 업계, 비정부기구(NGO) 등과 협력해 신뢰성 있는 인증센터를 구축하고 한국을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의 중심으로 성장시켜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혜원 기자 ki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