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은 7일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의 주가조작 관여 의혹을 겨냥한 특별검사(특검) 임명 법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은주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을 원포인트로 한 김건희 특검법 발의에 착수하겠다”면서 “더는 검찰에 맡겨둘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김 여사에 대한 소환조사를 촉구하려 대검찰청을 항의 방문했으나 그 자리에서 확인한 것은 살아있는 검찰이 아닌 용산지검으로 쪼그라든 죽은 검찰이었다”며 “검찰은 수사지휘권이 없다는 말만 앵무새처럼 반복했다”고 비판했다.
정의당은 그동안 ‘선(先) 검찰 수사’를 강조해왔지만 검찰 수사가 미온적이라는 판단에 따라 특검으로 방향을 튼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도 김 여사 주가조작 의혹 등을 포함한 특검을 추진하고 있지만 수사 대상과 특검 추진 방식이 달라 두 당의 공조가 원활하게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민주당은 김 여사 특검법을 3월 중 신속 처리안건(패스트트랙)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의견이지만, 정의당은 원포인트 특검을 추진하되 신속 처리안건 지정보다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논의 등 일반적 절차에 따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원내대표는 “국회 내에서는 절차에 따라 진행돼야 하고 50억 클럽 특검에 대해 법사위에서의 정상적인 논의를 촉구했다”면서 “김건희 특검 역시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수진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원내대책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정의당이 이제라도 김 여사 특검법을 발의하겠다고 한 것은 매우 잘한 결정이나 함께 논의해 법안을 만들어 내면 어떨까 한다”면서 “정의당과 긴밀히 논의해 차이점을 좁혀 함께 발의할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