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수 경남지사는 6일 오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찾아 22명의 방산기업 및 협력기관 관계자들과 함께 방위산업 수출 활성화를 위한 전략회의를 가졌다.
방위산업 수출전략회의는 지난해 대한민국의 방산 수출액인 173억 달러의 성과를 이어가고 한국이 세계 4대 방위산업 수출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경남의 추진 전략 구상과 현장의 목소리 청취를 위해 마련됐다.
이날 회의에는 박 지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한국항공우주산업 및 대우조선해양 등 방산기업 13개사와 국방기술품질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재료연구원, 한국세라믹기술원 등 11개 협력기관이 참석했다.
박 지사는 “방위산업은 기계산업에 IT와 AI 등 모든 산업의 총 결정체이기 때문에 경남이 방위산업의 중심이 될 수 있었다”며 “경남 방위산업의 장기적 수급 상황을 개선하고 수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 연구기관, 기업들이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경남 방위산업 육성 종합계획’에 대한 발표를 시작으로 13개 방산기업이 현장에서 느끼고 있는 생생한 의견들을 제시했다.
특히 ‘국가전략기술 선정 및 세액공제 확대’ ‘방위사업계약법 조속 제정’ ‘절충교역 가치승수 중소기업 확대’ ‘신규 해외시장 개척 및 마케팅 등 방산 수출 지원 확대’ ‘MRO산업 중소기업 참여 확대’ 등 건의사항이 제시됐으며 각 협력기관들은 기업 맞춤형 방산수출 전략과 정책을 공유했다.
도는 방산기업들의 애로 및 건의사항을 함께 청취하며 방위산업의 수출 활성화에 힘을 보태기로 했다. 향후 현장 의견을 바탕으로 대정부 건의와 관련 국비 예산 확보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한편 경남도는 ‘방산 중소기업 클러스터 조성 및 수출지원’을 도정 핵심과제로 채택하고 미래 먹거리인 방위산업의 체계적인 육성을 위해 연구개발과 수출지원, 인프라 등 5대 분야 29개 세부과제를 담은 ‘경남 방위산업 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지난해 11월 경남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방산수출 전략회의’에서 박 지사가 직접 건의한 방산부품연구원 설립과 방산 수출 지원을 위한 범정부적인 컨트롤타워 구축, 국방과학기술료 제도 개선 등이 정부 정책에 반영돼 정상 추진되고 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