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나지 않는 잡음… KT 차기대표 선정 주총 연기 가능성

입력 2023-03-05 16:54 수정 2023-03-05 17:32
서울시내에 위치한 KT 매장 모습. 뉴시스

KT 차기 대표이사 선임 절차가 잇단 ‘외풍’에 흔들리고 있다. 구현모 대표가 연임의 뜻을 내려놓으면서, KT 출신 인사로 후보군을 압축했지만 정치권 압박이 거세다. 일부에선 KT가 내세우는 ‘디지코’의 성과가 부풀려졌다는 흠집내기식 주장까지 펼친다. 정기 주주총회 일정마저 연기될 가능성마저 제기된다.

5일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KT는 오는 7일 대표이사 최종 후보 1명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달에 열리는 정기 주주총회에서 최종 후보를 대표이사로 선임할 예정이다. KT 이사회에서 지난 2일 발표한 차기 대표 최종 후보 4명은 박윤영 전 KT 기업부문장, 신수정 엔터프라이즈 부문장, 윤경림 그룹 트랜드포메이션 부문장, 임헌문 전 매스 총괄 사장(가나다 순)이다. 모두 전·현직 KT 인사다.

이동통신 업계 일부에서는 구 대표가 연임을 포기하는 과정에서 정부와의 교감이 이뤄졌다고 봤다. ‘낙하산’ 논란을 피하면서도 경영성과를 이어갈 인사로 최종 후보를 채우는 데 정부도 어느 정도 만족했을 거라는 시각이었다. 이에 따라 차기 대표 선임 절차에 속도가 붙는다는 예측도 나왔다.


그러나 여당뿐만 아니라 대통령실까지 ‘압박’을 가하면서 다시 혼란이 불거졌다. 여권 정치인들은 KT 출신 인사들로만 최총 후보를 구성한 걸 두고 “회사 경영을 독점하려 한다”며 거세게 비난했다. 대통령실에서는 “공정·투명한 거버넌스가 안되면 조직 내에서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가 일어나고 그 손해는 국민이 볼 수밖에 없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이러자 야당은 “KT를 관치화하겠다는 의도”라며 강하게 반발한다. 이동통신 업계에서도 “민간기업의 최고경영자(CEO) 인선에 정치권 개입이 적나라하게 이뤄지는 모습이다. 산업계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는 사례가 될 수 있다”며 불편함을 내비친다.

여기에다 “KT가 최근 수년간 통신망 대·개체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 통신 인프라 노후화가 심각하다” “영업점에서 계약실적 쌓기에 직원을 동원했다”는 식의 전·현직 KT 직원들 비판까지 나오면서 내부 혼란은 커지는 중이다. KT는 “통신 장비에 매년 투자하고 주기적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노후 설비는 지속해서 교체·보완이 이뤄지고 있다. 가입자 유치에서 과열 마케팅을 지양하고 있으며, 허수 계약은 윤리경영 차원에서도 지속적인 관리·감독을 통해 차단하고 있다”며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이다.

KT 안팎의 잡음이 끊이지 않자 정기 주주총회가 밀릴 수 있다는 관측마저 나온다. KT는 정기 주주총회 개최일을 아직 공시하지 않았다. 내부적으로는 ‘29일’로 잠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이틀 정도 미루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기 주주총회 일정이 늦춰지면, 최종 후보 1명을 발표하는 일정 역시 밀릴 수 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