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는 올해 만 18세 이상 등록 장애인에게 사회참여 기회 확대와 소득보장을 위해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한다고 5일 밝혔다.
시는 27억원을 들여 장애인 199명에게 일반형 일자리, 장애인 복지일자리, 시각장애인 안마사 파견,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등을 지원한다.
일반형 일자리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및 사회복지시설 등 34곳에 71명을 배치한다. 이들은 전일제(주 40시간). 시간제(20시간)로 복지행정 업무를 보조한다.
장애인 복지일자리는 장애인 복지시설, 공공기관 등 37곳에 114명이 배치돼 주 14시간(월 56시간) 환경정비, 우편물 분류, 급식지원, 도서관 사서 보조업무를 수행한다.
안마사 파견은 시각장애인 10명이 지역 경로당 어르신들에게 안마서비스를 제공하고 주 25시간 운영된다.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는 4명이 배치돼 식사를 돕고 야외 이동 지원 등 요양보호사의 전반적인 업무를 보조한다. 근무시간은 주 25시간이다.
시는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지난해 11월 경북지체장애인협회 경주시지회(장애인 복지일자리), 대한안마사협회 경북지부(시각장애인 안마사 파견), 경북장애인부모회 경주시지부(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등 3개 단체를 수행기관으로 선정했다.
시는 2020년 124명(14억), 2021년 151명(18억), 2022년 177명(22억)의 장애인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했다. 앞으로는 행정보조와 환경정비 등 한정된 직무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재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영역을 더욱 넓혀 나갈 방침이다.
경주시 관계자는 “근로가능한 장애인들의 소득보장과 자립생활 지원을 위해 장애유형에 맞는 일자리를 발굴해 제공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경주=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