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면…2035년 세계 인구 절반 과체중·비만 된다”

입력 2023-03-04 00:02
2035년이 되면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과체중이나 비만이 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민일보DB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2035년쯤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과체중 또는 비만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고 로이터통신과 미국 정치전문매체 ‘더힐’(The Hill) 등이 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세계비만재단은 이날 발표한 보고서 ‘세계 비만 아틀라스 2023’에서 비만 문제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하지 않으면 2035년까지 과체중 또는 비만 인구가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체중(㎏)을 키의 제곱 값(㎡)으로 나눈 값으로 몸무게를 저체중, 건강 체중, 과체중, 비만 등으로 분류하는 체질량지수(BMI=㎏/㎡)를 사용해 현재와 미래의 과체중과 비만 인구 변화를 분석했다.

재단은 BMI가 25 이상인 과체중 인구가 2035년엔 40억500만명으로 세계 인구의 51%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BMI 30 이상인 비만 인구는 19억1400만명으로 세계 인구의 24%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세계 인구 중 과체중 인구 비율은 2020년 38%에서 2025년 42%, 2030년 46%, 2035년 51%로 증가하고, 비만 인구 비율은 2020년 14%에서 2025년 17%, 2030년 20%, 2035년 24%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보고서는 특히 같은 기간 5~19세 어린이와 청소년의 비만 증가율이 전체 연령층 중에서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남자 어린이·청소년 비만인 비율은 2020년 10%(1억300만명)에서 2025년에 20%(2억800만명)로 높아지고, 여자 어린이·청소년 비만인 비율은 2020년 8%(7200만명)에서 2035년 18%(1억7500만명)로 상승할 것으로 추정됐다.

20세 이상 성인 남성 비만 인구는 2020년 14%(3억4700만명)에서 2035년 23%(6억9000만명)로, 여성 비만 인구는 2020년 18%(4억6600만명)에서 2035년 27%(8억4200만명)로 늘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다만 비만인 개인을 탓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과 관련된 사회적, 환경적, 생물학적 요인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이 보고서는 다음 주 중 유엔 정책 입안자들과 회원국들에 제시될 예정이다.

한편 BMI가 건강 분야에서 체중 분류에 널리 사용되긴 해도, 이 지수가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데 적절한 기준치냐는 지적도 나온다.

더힐은 “BMI로는 지방, 근육, 뼈 가운데 어느 것이 체중에서 많이 기여하는지 알 수 없다”며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도 운동선수나 근육량이 많은 사람은 BMI가 높아도 항상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간주하지는 않는다고 밝히고 있다”고 밝혔다.

김은초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