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 광운대 교수가 윤석열 대통령의 3·1절 기념사를 비판한 데 이어 기념사 논란과 관련한 대통령실의 입장에 대해서도 부정적 인식을 드러냈다.
진 교수는 3일 페이스북에 3·1절 기념사 논란과 관련한 대통령실의 입장을 다룬 기사를 공유하며 “대통령실에 묻습니다. 내가 반일감정으로 얻을 수 있는 정치적 이익이 뭐죠?”라며 “어디서 같지도 않은 사기를 치려고 드나”라고 불쾌감을 표했다.
그는 “대통령 주위에 극우꼴통들만 있으니 이게 신호탄이고 그 뒤로 위안부, 징용공, 오염수, 일본 재무장의 정신적 준비로서 일본 정부의 군국주의 미화 등이 줄줄이 이어질 것”이라며 “마음의 준비들 하시라”고 비꼬았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1일 서울 중구 유관순 기념관에서 열린 제104주년 3.1절 기념식에서 “일본은 과거의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협력 파트너로 변했다”고 언급했다. 양국 간 협의가 진행 중인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와 같은 민감한 현안은 기념사에서 거론되지 않았다.
이를 두고 야권 등에서 거센 비판이 쏟아졌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2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매국노 이완용과 윤 대통령의 말 사이에 무슨 차이가 있는지 이해하지 못하겠다”며 “일제의 강점과 지배를 합리화하는 식민사관”이라고 힐난했다.
진 교수도 비판 대열에 가세했다. 그는 이날 CBS 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에서 “삼일절이 아니라 ‘친일절’이 돼버렸다”면서 “보수정권에서도 이런 적은 없었다. 박근혜정부 때 식민지 근대화론자들이 등장하고 국정 교과서 문제가 등장하면서 약간 한국의 우경화가 진행됐는데, 한국과 일본 우익들의 모종의 연대가 만들어진 것이 공식적으로 나왔다는 데 경악했다”고 말했다.
논란이 커지자 대통령실은 “안보와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한일 간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핵심이었다”고 반박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한일 관계는 늘 과거도 있고, 현재도 있고, 미래도 있지 않으냐. 모든 게 함께 얽혀 있는데 양국 국민은 과거보다 미래를 보고 가는 게 바람직하지 않으냐는 생각”이라며 이같이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시민단체,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친일사관에 동조했다는 비판이 나온다’는 질문에 “한국과 일본에는 두 세력이 있는 거 같다. 한쪽은 어떻게든 과거를 극복하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자는 세력, 또 하나는 어떻게든 반일 감정과 혐한 감정을 이용해서 정치적 반사이익을 얻으려는 세력이 있다”며 “과연 어느 쪽이 좀 더 국가 이익을 위해 고민하고 미래 세대를 위해 고민하는 세력인지 현명한 국민들이 잘 판단하리라 생각한다”고 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