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 “3·1절 아닌 친일절, 尹기념사 최악…신호탄일듯”

입력 2023-03-03 07:42
윤석열 대통령이 1일 서울 중구 유관순 기념관에서 열린 제104주년 3.1절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진중권 광운대 교수가 윤석열 대통령의 3·1절 기념사를 비판한 데 이어 기념사 논란과 관련한 대통령실의 입장에 대해서도 부정적 인식을 드러냈다.

진 교수는 3일 페이스북에 3·1절 기념사 논란과 관련한 대통령실의 입장을 다룬 기사를 공유하며 “대통령실에 묻습니다. 내가 반일감정으로 얻을 수 있는 정치적 이익이 뭐죠?”라며 “어디서 같지도 않은 사기를 치려고 드나”라고 불쾌감을 표했다.

그는 “대통령 주위에 극우꼴통들만 있으니 이게 신호탄이고 그 뒤로 위안부, 징용공, 오염수, 일본 재무장의 정신적 준비로서 일본 정부의 군국주의 미화 등이 줄줄이 이어질 것”이라며 “마음의 준비들 하시라”고 비꼬았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1일 서울 중구 유관순 기념관에서 열린 제104주년 3.1절 기념식에서 “일본은 과거의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협력 파트너로 변했다”고 언급했다. 양국 간 협의가 진행 중인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와 같은 민감한 현안은 기념사에서 거론되지 않았다.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1일 서울 중구 유관순 기념관에서 열린 제104주년 3.1절 기념식에서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를 두고 야권 등에서 거센 비판이 쏟아졌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2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매국노 이완용과 윤 대통령의 말 사이에 무슨 차이가 있는지 이해하지 못하겠다”며 “일제의 강점과 지배를 합리화하는 식민사관”이라고 힐난했다.

진 교수도 비판 대열에 가세했다. 그는 이날 CBS 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에서 “삼일절이 아니라 ‘친일절’이 돼버렸다”면서 “보수정권에서도 이런 적은 없었다. 박근혜정부 때 식민지 근대화론자들이 등장하고 국정 교과서 문제가 등장하면서 약간 한국의 우경화가 진행됐는데, 한국과 일본 우익들의 모종의 연대가 만들어진 것이 공식적으로 나왔다는 데 경악했다”고 말했다.

진중권 광운대 교수. CBS 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 방송화면 캡처

논란이 커지자 대통령실은 “안보와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한일 간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핵심이었다”고 반박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한일 관계는 늘 과거도 있고, 현재도 있고, 미래도 있지 않으냐. 모든 게 함께 얽혀 있는데 양국 국민은 과거보다 미래를 보고 가는 게 바람직하지 않으냐는 생각”이라며 이같이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시민단체,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친일사관에 동조했다는 비판이 나온다’는 질문에 “한국과 일본에는 두 세력이 있는 거 같다. 한쪽은 어떻게든 과거를 극복하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자는 세력, 또 하나는 어떻게든 반일 감정과 혐한 감정을 이용해서 정치적 반사이익을 얻으려는 세력이 있다”며 “과연 어느 쪽이 좀 더 국가 이익을 위해 고민하고 미래 세대를 위해 고민하는 세력인지 현명한 국민들이 잘 판단하리라 생각한다”고 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