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세 이전에 아토피 피부염이 발병할 지 여부를 생후 2개월에 조기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한미 공동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알레르기 행진으로 이어지는 난치 피부질환의 진행을 예방하고 조기 개입을 통해 환자 고통을 줄이는데 큰 보탬이 될 전망이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안강모·김지현 교수, 미국 내셔널주이시헬스(National Jewish Health) 공동 연구팀은 관련 연구를 알레르기·임상면역학저널(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Immunology)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피부에 이상이 없는 생후 2개월 영아 111명의 팔에서 테이프로 피부 각질층을 채취하고, 피부지질 구성과 사이토카인(면역조절 물질)을 분석한 뒤 생후 24개월까지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아토피 피부염이 발생하기 이전인 생후 2개월에 이미 피부지질 구성 및 피부에서의 사이토카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이 관찰됐다. 특히 알레르기 가족력이
있으면서 피부의 ‘인터류킨13(IL-13)’과 ‘26대1 불포화 스핑고미엘린’가 높고 ‘단백질 결합 세라마이드(O30:0(C20S)-CER)’가 낮은 경우에는 아토피 피부염 발생 가능성이 54배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침습적 방법을 통해 피부 각질층을 채취한 후 가족력, 피부지질 변화, 사이토카인 발현 등을 병합해 분석하면 향후 아토피 피부염 발생 예측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보고했다.
연구팀은 2일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 예측은 조기 개입을 통해 환자들의 고통을 줄이고 의료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면서 “알레르기 행진으로 이어지는 질병의 진행을 예방하고 향후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 진료의 기반을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