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아동병원협회는 최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소아응급체계 개선 방안 중 달빛어린이병원을 현재 37곳에서 내년 100곳으로 확대하는 것과 관련, 2일 “정부 당국자의 안일함에 유감스럽고 걱정이 앞선다”며 “달빛어린이병원의 사업 목적 및 업무 수행 내용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협회는 “현재 소아응급실 기준인 고열 발생 환자는 달빛어린이병원 아닌 전국 대부분의 아동병원과 1차 의료기관에서 80% 이상 치료를 맡고 있다”고 했다.
특히 “소아응급실 전 단계의 밀집도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달빛어린이병원의 역할이 중요한데, 전국의 37곳 달빛어린이병원중 공휴일 야간 진료가 가능한 곳은 5곳 (13.5%), 토요일 야간 진료가 가능한 곳은 9곳 (24.3%), 일요일 야간 진료가 가능한 곳은 7곳(18.9%)에 불과하다”며 “이른바 무늬만 달빛어린이병원”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현재의 달빛어린이병원 인식은 야간과 휴일에 해열제 처방전만 발행 가능하면 되지 않을까라는 안이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응급실 전 단계 과밀도 해소라는 사업목표 달성 여부, 소아환자 중증도에 따른 환자 분류 이송 역할 및 실적, 지역 분포 불균형 해소, 저조한 참여도, 현장 의견 등에 대해 달빛어린이병원 2014년 제도 도입 후 단 한차례라도 사업평가가 있었는지 묻고 싶다”고 반문했다.
이에 따라 협회는 “윤석열 대통령의 소아응급 진료에 대한 공개 언급과 복지부의 소아응급체계 개선 방안에 대해 보다 실효성 있는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모든 종별 의료기관 소아진료의 야간, 공휴일 및 일요일 가산 체계의 전면 개편과 나이·시간별 소아 가산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환자 중증도에 따른 종별의 역할을 재정립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협회는 “소아 응급진료 분류체계의 재정립이 필요한데 예를 들어 상급종합병원은 중증환자(거점 응급의료기관. 응급실), 아동병원은 준중증 달빛어린이병원(Urgency Clinic), 의원은 경증 환자(달빛의원)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응급치료 인적자원이 현재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므로 더 많은 생명을 지키기 위해서는 폐기된 1339 역할을 복원하고 병원방문 전 단계 이송 및 병원간 전원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양동 협회장은 “코로나19가 전국을 공포로 떨게 한 지난 3년간 전국 120곳의 아동병원은 발열 등 아급성 질환 백만명 이상의 외래환자를 진료했으며 이중 아급성 질환 15만명 이상의 환자는 입원, 치료 서비스를 받았다”고 전하고 “소아 외래환자중 경증부터 중증도 환자까지 치료하는 등 아동병원은 2차 병원 이상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정부가 지금의 소아 응급의료 체계 붕괴에 대처하기 위해선 아동병원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확실히 인지해 정책 수립을 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홍준 정책이사는 싱급병원에 소아청소년과의사 다 몰아주면 휴일, 야간 시간때 동네 어린이 볼 소아청소년과의사 없어지고, 2~3년내 전공의 양성계획 없을 경우에는 어린이 진료체계는 회복 불가능 상태에 봉착될 수밖에 없다며 전공의 양성계획을 조속히 세워달라고 주문했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