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윤석열 대통령 3·1절 기념사를 두고 엇갈린 평가를 내놨다.
국민의힘은 “국익 관점에서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했다”고 호평한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역사관이 의심스럽다”며 날을 세웠다.
박정하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1일 논평에서 “(윤 대통령은) 국권을 상실하고 고통받았던 과거를 돌아보며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희생한 선열들을 기억하는데 머무르지 않고 세계사 변화를 제대로 준비해 과거의 불행을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이어 “갈등과 대립의 연속이 아닌 역사에서 교훈을 찾고 미래지향적인 우리의 방향을 제시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중구 유관순기념관에서 열린 제104주년 3·1절 기념식에서 “일본은 과거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와 경제, 그리고 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하는 파트너가 됐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강제징용 문제 등 과거사 관련 현안은 언급하지 않았다.
윤 대통령은 또 북핵 문제 등을 거론하며 “안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한·미·일 3자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박 수석대변인도 “복합적인 세계적 위기 극복은 물론 우리가 처한 북한의 핵 위협에 엄중히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한·미·일 3국 간 협력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책임과 역할, 안정적인 동북아 정세, 발전적인 한·미·일 3자 협력 관계를 기대한다”면서 “국민의힘도 오직 국익적 관점에서 세계사의 변화 흐름에 발맞춰 미래를 준비하는 데에 앞장서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특히 야권을 겨냥해 “이런 상황에서 국익 차원 협력 강화를 두고 정쟁적으로 해석해 비판을 쏟아내는 것은 국민보다 정파를 우선하고 국제정세를 읽지 못하는 지엽적인 시각”이라고 쏘아붙였다.
민주당은 “역대 어느 대통령도 3·1절을 이리 가벼이 여긴 적은 없었다” “이게 정말 대한민국 대통령 기념사인가 싶다” 등 혹평을 쏟아냈다.
김의겸 민주당 대변인은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 대통령이 언급한)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협력 파트너’는 진솔한 사과와 책임지는 자세가 전제돼야 비로소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이 조선인들을 전쟁터로, 갱도로, 위안소로 강제 동원한 건 아직도 펄펄 끓는 아픔”이라면서 “일본은 이 상처를 계속해서 덧내고 있는데 윤 대통령 기념사만 보면 상처가 이미 깨끗이 아물어 버린 듯하다”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윤 대통령이 ‘세계사 변화에 제대로 준비하지 못해 국권을 상실했던 과거를 되돌아봐야 한다’고 거론한 것과 관련해 “식민지배를 정당화하는 논리”라고 비판했다.
김희서 정의당 수석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3·1운동 정신을 거꾸로 세우고, 국민에게 모욕감을 주는 역대 최악의 대통령 기념사”라고 말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