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제104주년 3·1절 기념사에서 “일본은 과거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와 경제, 그리고 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하는 파트너가 됐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1일 서울 중구 유관순기념관에서 열린 제104주년 3·1절 기념식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의 3·1절 기념사는 취임 후 처음이다.
윤 대통령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과 연대하고 협력해서 우리와 세계 시민의 자유 확대와 공동 번영에 책임있는 기여를 해야 한다”며 “이것은 104년 전,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외친 우리 선열들의 그 정신과 결코 다르지 않다”고 강조했다.
일본과의 ‘과거사 문제’를 언급했던 이전 3·1절 기념사와는 달리, 윤 대통령은 강제징용 문제 등 과거사 관련 현안을 언급하지 않았다. 대신 일본과의 미래 지향적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데 방점을 찍었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독립’을 10차례, ‘자유’를 8차례, ‘미래’를 5차례, ‘과거’와 ‘번영’ ‘기억’ ‘헌신’을 각각 4차례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복합 위기와 심각한 북핵 위협 등 안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한·미·일 3자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또 “(3·1운동 이후) 104년이 지난 오늘 우리는 세계사의 변화에 제대로 준비하지 못해 국권을 상실하고 고통받았던 우리의 과거를 되돌아봐야 한다”며 “여기서 우리가 변화하는 세계사의 흐름을 제대로 읽지 못하고 미래를 준비하지 못한다면 과거의 불행이 반복될 것이 자명하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가 이룩한 지금의 번영은 자유를 지키고 확대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보편적 가치에 대한 믿음의 결과였다”며 “그 노력을 한시도 멈춰선 안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그것이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선열들에게 제대로 보답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영광의 역사든, 부끄럽고 슬픈 역사든 역사는 잊지 말아야 한다.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우리가 미래를 지키고 준비하기 위해서”라며 “우리는 조국을 위해 헌신한 선열들을 기억하고 우리 역사의 불행한 과거를 되새기는 한편, 미래 번영을 위해 할 일을 생각해야 하는 날이 바로 오늘”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애국지사 및 독립유공자와 유족 등 1300여명이 참석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