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이태원 참사와 같은 재난을 막기 위해 자치구 재난안전상황실이 24시간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에 나선다. 시는 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등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8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재난안전시스템 강화 대책’ 자치구청장 회의에 참석해 “우리 시의 재난 예측 예방 대비 상황 관리 초기 대응 복구 등 전 과정을 근본부터 바꾸는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시는 구체적으로 자치구의 재난안전상황실을 24시간 상황실장 체계로 강화해 실시간 위험·감시 능력을 향상한다. 시는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할 수 있는 전담인력 확보를 전제로 각 자치구에 최대 6억원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또 재난안전상황실에 현장 경험이 풍부한 소방공무원들을 배치해 119 종합상황실과 유기적 연계가 가능하게 할 방침이다.
시는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출동 경로나 긴급신고전화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첨단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병상 정보 및 환자 이송 내역도 실시간으로 공유될 수 있도록 재난 의료·수습체계도 강화한다. 또 분야별 전문가가 참여한 ‘도시 위험성 종합평가’를 바탕으로 잠재 위험 요소를 발굴하고 취약점을 보완할 계획이다.
시는 이외에도 시·소방·경찰·군·의료기관 등이 참여하는 ‘위기관리 회의’ 운영, 재난대응 매뉴얼 간소화, 인파 밀집 지역 실시간 예·경보 시스템 도입, 재난 훈련 활성화, 가상재난 참여 프로그램 다양화 등도 추진할 방침이다.
오 시장과 구청장들은 최근 옥외광고물법 개정 이후 난립하고 있는 정당 현수막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옥외광고물법이 개정되면서 정당 정책·정치적 현안에 대해서는 별도의 신고·허가·금지·제한 없이 현수막을 표시·설치할 수 있게 됐다. 이로 인해 도시미관 저해나 보행자·자동차 안전 위협 문제 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시는 3월 중으로 정당 현수막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현수막 지정 게시대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정부·국회에 옥외광고물법 및 시행령 등의 개정을 건의할 계획이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