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재명(친명)계 의원들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 표결 결과를 놓고 격앙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압도적 부결’을 공언했음에도 상당수의 ‘이탈표’가 나왔기 때문이다.
민주당 최고위원인 정청래 의원은 2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분노할 때 분노하고 다시 일어설 때 함께 일어서자. 그래도 내일이 떠오른다. 이재명은 죽지 않는다”며 “눈물 나게 미안하고 미안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더 잘 치밀하게 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강경파 초선의원모임 ‘처럼회’ 수장인 최강욱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이번 표결 결과에 대해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며 “검찰의 의도라거나 이런 것들이 너무 노골적이었기 때문에 큰 걱정을 저는 개인적으로는 안 했다. 정말 놀랐다. 황당하다”고 말했다.
이어 “행여라도 지금 차기 공천을 생각해서 ‘현 지도부로는 내가 계속 정치를 하는 것이 위험하겠다’고 걱정하는 분들이 이번에 나선 거라면 그건 당의 분열을 유도하거나 염두에 두는 사람들이 볼 때 박수칠 일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어제 결과를 놓고 많은 분이 ‘이럴 수가 있나’ 놀라거나 실망하는 지점도 있겠지만 오히려 이것이 결속의 계기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용민 의원은 전날 표결 결과 직후 페이스북을 통해 이탈표를 낸 민주당 의원들을 겨냥해 “이 대표가 대선을 이겼으면 자기가 가장 공이 크다고 하고 다녔을 사람들이 오늘 찬성표를 던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무엇이 정의로운지는 배우지 않아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정치적 야욕에 눈이 먼 사람에게 보이지 않을 뿐”이라며 “그들이 틀렸음을 확인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민형배 무소속 의원은 페이스북에 “검사 독재정권의 무도한 범죄 만들기는 실패했다. 주권자의 뜻대로 이뤄졌다”면서도 “저 아래 사진의 흘려 쓴 ‘부’자가, 원래 자신의 필체가 아니라 의도적인 무효표 논란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것이었다면 그 의원은 제 발로 걸어 나가 집을 향하는 게 어떨까”라고 지적했다.
현근택 전 상근부대변인은 페이스북에 “당대표 신병에 대한 표결이었다. 헌정사상 처음 있는 일”이라며 “무기명 비밀투표 뒤에 숨는 것은 비겁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의원들을 향해 “당원들에게 어떤 표결을 했는지 밝힐 필요가 있다. 본인이 밝히지 않더라도 알 수 있는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며 “평소 당대표에 대한 입장을 보면 된다. 표결 이후의 언행은 분명한 징표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날 표결 결과 이 대표 체포동의안은 297명이 표결에 참여한 가운데 찬성 139표, 반대 138표, 기권 11표, 무효 9표로 부결됐다. 민주당과 기본소득당, 일부 무소속 의원 등 범야권 총투표수가 175표인데도 반대는 138표였고 기권·무효도 20표나 됐다. 민주당 소속 의원 169명 전원이 표결에 참석한 점을 고려하면 최소 31명이 반대표를 던지지 않은 결과다.
민주당의 이탈표가 없었다면 체포동의안에 찬성하는 표의 최대치는 이미 체포동의안 가결 입장을 밝힌 국민의힘(114명), 정의당(6명) 의원 전원에 이 대표 체포동의안 부결을 비판해 온 시대전환 조정훈 의원의 표를 더해 121표로 예상됐다. 실제로 139표가 나온 만큼 민주당 내에서 나온 ‘찬성’ 18표에 기권(9표), 무효(11표)를 적은 의원 수를 더하면 이탈표 규모는 최대 38표로 늘어난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