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가 준공 90년 가까이 된 시의회 건물 이전·신축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건물 노후화와 만성적인 공간 부족에 각종 규제 등으로 리모델링 등도 쉽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서울시의회와 서울시가 지난해 말부터 ‘시의회 청사 건립 등에 대한 타당성조사 용역’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와 시의회는 이번 용역을 통해 시의회 부지로 적합한 곳과 이전 신축 방안의 적정성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27일 “전방위적으로 시의회 이전까지 염두에 두고 용역을 통해 모든 안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재 서울시청과 세종대로를 사이에 두고 있는 시의회 청사 본관은 1935년 경성부 부립극장으로 지어졌다. 이처럼 지어진 지 80년이 넘은 건물이라 노후화됐고, 내부 공간도 지하 1층·지상 4층에 총면적 7109㎡로 넓지 않다.
현재 본관 건물에는 사무처와 본회의장·의장단 사무실 정도만 있다. 이에 시의회는 500m 떨어진 곳에 있는 서울시의회 의원회관 건물과 서울시청 서소문청사 2동 건물 일부분을 활용하고 있다.
이처럼 노후화에 부속 건물들이 분산 배치돼 있어 건물의 효율적인 활용도 어렵다. 시의회 관계자는 “2008년쯤에는 200여명이었던 직원이 현재 2배로 늘어났는데, 공간은 그대로라 각 과·팀별로 쪼개져 배치된 경우도 있다”며 “인원이 다른 상임위보다 많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공간 부족 문제는 심각하다”고 설명했다.
시의회는 이에 지난 2021년 ‘시의회 청사 공간 및 내진보강 설계’ 공모를 진행하는 등 의원회관과 서소문청사 2동 건물을 리모델링 방안을 추진했다.
하지만 의원회관과 서소문청사 2동은 덕수궁 주변이라 높이 규제를 적용받아 구조변경도 쉽지 않다. 덕수궁은 문화재보호구역이라 문화재 높이(3.2m) 기준 앙각(올려본 각도) 27도 이내로 높이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오히려 건물을 증축하려다가 일부 지역은 지금보다 높이가 더 낮아질 수도 있다. 본관 역시 등록문화재라 소규모 내부 개보수 외에는 절차상 손을 대기 쉽지 않다.
또 지난해 11대 의회가 출범하면서 상임위가 하나 더 늘어 10개 상임위를 전제로 만든 기존 설계안을 적용하기도 어렵다. 시의회는 이 때문에 건물 리모델링 방안 대신 시의회 이전·신축안을 검토하게 됐다.
용역은 서울시 내부 사전 검토 과정을 거쳐 상반기 중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의회 관계자는 “큰 그림을 그리는 신축 용역을 추진하는 만큼 당장 급한 시설 문제는 규모를 최소화해서 서소문청사 2동 일부분을 리모델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