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27일 연세대 학위수여식(졸업식)을 찾아 “기득권 카르텔을 깨고 더 자유롭고 공정한 시스템을 만들고 함께 실천할 때 혁신은 이뤄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연세대 신촌캠퍼스 대강당에서 개최된 ‘2023년 2월 학위수여식’에 참석해 “혁신에는 기득권의 저항이 따르게 돼 있다. 우리가 이를 극복할 의지와 용기를 가지고 있을 때 혁신을 실천할 수 있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자유와 공정을 담보하는 법이 짓밟히고, 과학과 진리에 위배되는 반지성주의가 판치고, 기득권 카르텔의 부당한 지대추구가 방치된다면 어떻게 혁신을 기대하고 미래를 이야기하겠느냐”고 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자유와 창의가 존중되고 공정한 기회가 보장되는 곳에서 혁신이 탄생했다”며 “우리보다 앞서간 나라들의 혁신 사례를 치밀하게 연구하고 실천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 제도를 혁신 선진국들의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동·교육·연금 등 3대 개혁을 강조하며 강력한 추진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3대 개혁은 우리 사회를 더 활기차게 하고 여러분의 꿈과 도전에 용기와 희망을 불어넣어 주기 위한 것”이라며 “미래 우리나라의 주역인 청년들이 미래를 꿈꿀 수 있도록 우리 사회를 더욱 자유롭고 공정하게 개혁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어 “여러분은 우리나라의 미래다. 우리나라의 눈부신 성장과 새로운 도약이 여러분으로부터 시작된다는 점을 잊지 말라”며 “여러분의 꿈과 도전, 그리고 용기와 패기를 강력히 지지하고 응원한다”고 격려했다.
지난해 5월 취임한 윤 대통령이 대학 졸업식에 참석한 것은 처음이다.
대통령실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제한됐던 대면 졸업식이 재개됨에 따라 청년들을 직접 격려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역대 대통령들도 대학 졸업식장을 찾았지만, 연세대를 찾은 건 윤 대통령이 처음이다. 윤 대통령은 학창 시절 인근 연희동에서 거주했으며 부친 윤기중 연세대 명예교수도 같은 대학 상경대 교수로 재직했다.
윤 대통령은 축사에서 “연세의 교정은 제게 남다른 의미가 있다”며 “아버지 연구실에서 방학 숙제를 하고 수학 문제도 풀었다. 또 아름다운 연세의 교정에서 고민과 사색에 흠뻑 빠졌고 많은 연세인과 각별한 우정을 나눴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김승연 기자 ki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