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30년 넘은 노후택지지구 재정비 본격화

입력 2023-02-27 14:34

대전시가 개발된 지 30년이 지난 장기택지개발지구의 재정비에 들어간다.

시는 27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둔산 등 장기택지개발지구 체계적 관리방안(재정비 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재정비 계획은 장기택지지구의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정주환경 개선, 지속 가능한 도시발전방향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된다. 시민과 자치구의 의견을 대폭 반영하는 시민 참여형 계획으로 만들어진다.

시는 용역을 통해 각 장기택지지구별 인구현황 및 공간구조, 기반시설, 교통·환경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해 각 지구가 당면한 문제를 도출하기로 했다. 장기택지지구의 관리 목표를 설정하고 토지이용·교통·경관·주거 등 부문별 재정비 계획도 수립한다.

또 장기택지지구의 특성에 따라 유형을 분류해 그에 맞는 관리방안도 만들기로 했다. 주택단지의 재건축·리모델링 유형, 대규모 블록 단위 통합정비 방안도 제시한다.

현재 대전의 장기택지개발지구는 동구 용운·판암, 중구 중촌·문화, 서구 내동·가수원·둔산·관저1·관저2, 유성구 송강·원내, 대덕구 중리1·중리2·법동·목상·석봉·송촌 등 17곳이다.

이들 지구는 기반시설이 부족하고 주거환경이 악화되면서 보다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시는 이들 지역의 도시공간과 주택, 교통 등 분야별 정비방안을 수립하는 한편 기존 지구단위계획의 문제점을 보완해 지역별 특성에 맞는 재정비 계획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향후 발생할 장기택지개발지구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도 수립한다.

특히 둔산지구와 송촌지구의 경우 정부의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적용대상인 만큼 향후 수립될 노후계획도시 정비 기본방침과 연계한 정비방안을 마련한다.

시민 주도의 정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시는 한동훈 한국과학기술원(KAIST) 건설 및 환경공학과 교수를 총괄계획가로 위촉했다.

한 총괄계획가는 앞으로 용역실무를 지휘하고 대전의 미래상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또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소통창구 역할도 수행한다.

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재정비 계획을 완성하고 하반기에는 주민·의회 의견청취, 도시계획 및 건축공동위원회 심의 등의 행정절차를 거쳐 계획을 확정할 방침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지역특성에 맞춰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정비계획을 수립해 달라”며 “용역에 자치구·주민들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소통채널을 활용하는 등 시민들과 함께 장기택지를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