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집에서 간편하게 식사나 요리를 즐기는 문화가 자리 잡는 등 가정간편식 시장 성장세에 따라 이의 집중 육성에 나선다.
경남도는 최근 1인 가구 및 맞벌이 가구 증가 등 식생활의 소비패턴 변화에 맞춰 지역농산물을 이용한 가정간편식 제조·가공 산업을 집중 육성 한다고 27일 밝혔다.
가정간편식(HMR Home Meal Replacement)은 바로 또는 간단히 섭취할 수 있도록 가정 외에서 판매되는 가정식 스타일의 완전, 반조리 형태의 제품을 말한다.
도는 코로나19 유행과 고물가로 가정간편식 시장 성장과 어려운 농업의 여건 개선, 바쁜 직장인들의 고단함을 덜어줄 수 있는 가정간편식 산업 육성의 적기로 보고 신규사업으로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8년 국내 가정간편식 출하액은 2017년보다 17.3% 많은 3조2164억원 규모로 추정하고 있으며 2022년 출하액은 5조원을 넘는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도는 먹거리 패러다임의 변화와 시장 확대 전망에 따라 경남에서 생산된 농산물 소비 확대를 위해 2026년까지 100억원을 들여 제품 생산에 필요한 제조·가공 시설, 포장기계·장비, 저온저장 시설 등을 지원, 가정간편식 제조업체 20개를 육성한다.
사업 신청 대상은 경남도 내에서 농식품 제조·가공업 영업등록증을 받고 지역 농산물을 50% 이상 이용해 가정간편식 제품을 제조·가공하는 법인(농업법인, 비농업법인)또는 개인으로 사업신청은 다음 달 10일까지 시·군농업기술센터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사업대상자는 경남도 선정심의위원회를 통해 결정되며 결정된 사업대상자는 사업비 5억원(자부담 40% 포함)지원 한도로 사업추진이 가능하다.
윤환길 도 농식품유통과장은 “가정간편식 시장 규모 확대에 따른 지역 농산물 소비 촉진 유도와 함께 가정간편식 산업의 시장경쟁력 확보를 위해 사업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