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소방이 지난해 1.7분당 1회 출동해 20.6분당 1명을 구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소방재난본부는 26일 이러한 내용 중심의 ‘2022년도 경기도 구조활동 분석 보고’를 발표했다.
보고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도소방은 구조 현장에 29만2897번 출동해 15만21건의 구조활동을 벌였다. 이를 통해 2만5454명을 구조했다.
하루 평균 802회 출동해 411건의 구조활동을 벌여 69.7명을 구조한 것이다.
시간으로 환산하면 1.7분당 1회 출동해 3.5분당 1건의 구조활동을 하고 20.6분당 1명을 구조한 셈이다.
이는 전년 출동 건수(24만9710건), 구조활동 건수(18만1446건), 구조 인원(2만116명) 대비 출동 건수와 구조 인원이 각각 17.3%(4만3187건 증가), 26.5%(5338명) 증가한 수치다. 다만 구조활동 건수는 전년 대비 17.3%(3만1425건 감소) 줄었다.
유형별로는 화재와 교통사고 등 구조활동이 9만4453건(구조 인원 2만1159명)으로 63%를 차지했으며, 벌집 제거와 동물처리 등 생활안전 활동이 5만5568건(구조 인원 4295명)으로 나머지 37%를 차지했다.
구조활동 중에서는 화재 출동 3만629건(32%)이 가장 높았다. 이어 교통사고 2만487건(22%), 위치 확인 1만2644건(13%), 승강기 9155건(10%) 등 순이다.
생활안전 출동은 벌집 제거가 2만5698건(46%)으로 단연 앞섰다. 이어 비화재보(실제 화재가 아닌 상황에서 경보가 울리는 것) 확인 9677건(17%), 동물처리 8924건(16%), 잠금장치 개방 4950건(9%) 등 순이다.
조선호 도 소방재난본부장은 “구조 수요가 날로 증가하면서 경기도 구조활동은 전국 22.5%를 차지해 압도적으로 많은 상황”이라며 “앞으로도 구조출동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광역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119긴급구조 대응 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