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 수출 목표가 발표됐다. 2027년까지 수출 250억달러 달성, 세계 4대 콘텐츠 강국 실현이다.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23일 윤석열 대통령이 청와대 영빈관에서 주재한 ‘제4차 수출전략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K-콘텐츠 수출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문체부는 K-콘텐츠 수출 전략을 ‘3E’로 정리해 발표했다. 수출 시장 확장(Expansion), 콘텐츠 산업 영역 확대(Extension), K-콘텐츠 프리미엄 효과(Effect) 활용이다.
정부는 우선 중동, 유럽, 북미 등 K-콘텐츠가 상대적으로 덜 활성화된 지역을 집중적으로 공략해 시장을 키운다는 계획이다.
현재 K-콘텐츠 수출은 중국·대만·홍콩이 전체의 36%, 일본이 15.4% 정도를 점한다. 중화권과 일본에 절반 넘게 의지하는 셈이다.반면 북미는 13.3%, 유럽은 10.9% 수준이고 중동을 포함한 여타 지역은 5.8%에 그치고 있다.
정부는 올해 미국과 영국에서 K-콘텐츠 엑스포를 개최하는 등 국외 시장에서 문화 상품을 노출할 기회를 늘린다. 미국 뉴욕, 영국 런던, 독일 프랑크푸르트, 인도 뉴델리, 멕시코 멕시코시티에는 국외 콘텐츠 거점을 신설한다. 거점은 현행 9개국 10개소에서 13개국 15개소로 늘어난다. 또 북미·유럽 시장에서 인기 있는 콘솔 게임을 육성하도록 올해 30개 사에 90억원을 지원하는 등 특화된 전략으로 대응한다.
정부는 웹툰,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등 플랫폼 산업과 결부된 분야를 지원해 K-콘텐츠 산업의 영역을 확대한다. 국내 웹툰 플랫폼 기업의 해외 진출, 웹툰이나 웹소설을 기반으로 한 영화, 드라마, 게임 제작 등을 지원한다. 중소 제작사가 콘텐츠 흥행의 과실을 누릴 수 있도록 제작사와 플랫폼이 IP(지식재산권)를 공동으로 보유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OTT 특화 제작 지원’ 사업에 올해 454억원을 투입한다.
한국의 패션, 뷰티, 휴대폰, 가전, 건설 산업을 K-콘텐츠를 통해 노출시켜 프리미엄 효과도 확산한다. 차세대 콘텐츠 플랫폼으로 꼽히는 메타버스가 K-콘텐츠 확산의 가상 거점이 되도록 ‘K-콘텐츠 메타버스 월드’를 구축한다. 챗GTP 등 생성형 인공지능(AI)과 융합콘텐츠도 적극적으로 발굴해 지원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21년 기준 124억 달러 수준인 K-콘텐츠 수출액을 연평균 12.3%씩 늘려 2027년에 250억 달러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2021년 매출액 기준 세계 콘텐츠 시장은 미국, 중국,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한국(7위)의 순인데 2027년까지 프랑스, 독일, 영국을 따라잡고 미중일과 함께 4강에 들겠다는 구상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K-콘텐츠가 세계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수출 규모가 늘어나고 전·후방 연관 효과까지 고려하면 엄청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면서 “정부, 민간기업, 금융기관 관련 단체들이 팀 코리아라는 원팀으로 뭉쳐야 한다”고 당부했다고 문체부 당국자는 전했다.
김남중 선임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