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유력 당권주자인 김기현 의원은 23일 “당정 관계는 ‘밀당(밀고 당기는)하는 부부관계’라는 말이 가장 적절한 표현 같다”면서 “(당대표가 된 이후 대통령실과) 치열하게 논쟁하고, 토론하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어 ‘윤석열 대통령과 입장이 다를 경우 노(NO)라고 말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노(NO)라고 말할 것”이라며 “‘밀당’이라는 게 그런 것”이라고 답했다.
이번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에서 친윤(친윤석열)계의 전폭적인 지지를 등에 업은 김 의원은 윤 대통령과의 관계에서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를 일축한 것이다.
김 의원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향후 관계설정에 대해 “이 대표 체제가 계속 갈 것 같다”고 전망한 뒤 “‘사법리스크’는 별도의 문제이고, 민주당 대표는 이 대표이기 때문에 (이 대표를) 인정하고 존중하지 않으면 국회 운영을 어떻게 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김 의원은 또 “‘윤핵관(윤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이라고 불리는 사람들도 당의 중요한 구성원”이라며 “내년 총선의 공천과 관련해 (당대표 선거 경쟁자인) 안철수 황교안 천하람 후보의 얘기를 다 들을 것이다. 그런데, ‘윤핵관’들의 얘기는 안 들어야 하나. 그것은 말이 안 되는 얘기”라고 말했다.
국민일보는 김 의원과 국회 의원회관에서 인터뷰를 가졌다. 다음은 일문일답.
-최근에 윤 대통령을 만난 적이 있는가.
“안 뵌 지 오래됐다. ‘만났다’고 그러면 다들 시비를 거니까 일부러 만나지 않는다.”
-유력후보라는 평가를 받는데, 결선투표 없이 1차에서 승리를 자신하는가.
“‘자신 있다’고 할 수도 없고, ‘자신 없다’고 할 수도 없다. 다만, 1차에서 끝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내년 총선 공천 과정에서 대통령실과 이견이 생길 경우 어떻게 할 계획인가.
“공천의 최종 결정은 당 공천관리위원회가 정하는 것이다. 대통령이 정하는 것이 아니다. 대통령뿐만 아니라 (당대표 선거) 다른 후보들을 포함해 당의 주요 인사들의 의견을 폭넓게 다 들을 것이다. (다만) 최종 결정은 공천관리위원회에서 하는 것이다.”
-당대표가 된다면 당직과 관련해 의중에 두고 있는 인사들은 있는가.
“한 명도 없다. 약속한 사람도 없고, 암시를 준 사람도 없다. 당직 인선을 구상한 적도 없다. 아직 선거에서 이긴 것도 아닌데, 무슨 인선 구상을 하겠나.”
-친윤계의 일방적 지지를 받고 있는데.
“사실과 다르다. 친윤계를 포함해 범계파의 지지를 받고 있다. 유승민계라고 불리던 사람들도 김기현을 지지한다고 공개 선언을 했다. 나경원 전 의원과 조경태 의원도 나를 지지하고 있다.”
-김 의원을 둘러싸고 ‘울산 KTX 연결도로 시세차익’ 의혹이 불거졌다.
“민주당이 김기현을 죽이기 위해 5년 전부터 계속 떠들었던 사안이다. 그런데 아무것도 나온 게 없었다. 내가 불법을 저지른 게 없으니까. 민주당에서 이미 진상조사 특위도 구성해서 조사했었는데, 아무것도 없다고 흐지부지 종결됐다.”
-당내 경쟁자들을 향해 검찰 수사 의뢰를 요구하면서, 대신 정치 생명을 걸어야 한다고 했는데.
“당연한 것 아닌가. 가짜뉴스를 퍼 나르면서도 책임은 안 지겠다고 하면 되나. 이건 비판이 아니라 비방이다.“
-국민의힘 대표가 될 경우 대야 관계는 어떻게 풀어나갈 건가.
“(대야 관계를) 주도적으로 끌고 가겠다. 싸울 것은 싸워서 이기고, 협상할 것은 협상해서 이기겠다.”
-지난 대선 당시 이재명 대표 공격에 주도적이었고, 22일에도 이 대표 발언을 겨냥해 ‘깡패’ 단어와 어울리는 분이라고 비판했는데.
“법에 가장 약한 게 깡패 아닌가. 법과 원칙을 앞세워야 주도적으로 끌고 나갈 수 있다. 협치라고 하는 것은 주도하는 사람이 힘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법과 원칙이라고 하는 강력한 무기가 있다면 상대방이 끌려오게 돼 있다.”
-이재명 대표 체제에서 야당과 협치는 어떻게 이뤄나갈 것인가.
“사법리스크와는 별도의 문제로, 이재명 대표는 대표로서 인정할 것이다. 민주당의 대표는 민주당이 뽑는 것이지, 우리가 뽑는 건 아니지 않나.”
-국민의힘 대표가 된다면 지금 경쟁 후보들을 비롯해 모두를 하나로 뭉치게 할 수 있나.
“당연히 그래야 한다.”
-이준석 전 대표 등도 포함되는가.
“특정인사의 이름을 거론하면, 제 의도와 다른 기사들이 나와서, 실명은 거론하지 않겠다. 다만, 모든 사람을 다 포용해서 가야 한다. 국민의힘의 성공을 위해 뜻을 같이하겠다고 한다면 심지어 민주당까지도 포용해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차기 총선 격전지로 꼽히는 수도권에 취약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터무니없다. 수도권 주민이 따로 있나. 각 지역에서 모인 사람이 수도권에 살고 있다.”
-내년 총선의 필승 카드로 구상하는 방안들이 있는가.
“필승 카드는 일을 잘하는 것이다. 무슨 꼼수나 정치공작 차원으로 접근하면 안 된다. 일 잘하는 여당, 민생을 잘 챙겨서 국민들에게 꿈과, 미래에 대한 비전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여당, 그렇게 돼야 하는 것이다. 얄팍한 수단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
-왜 국민의힘 차기 대표로 김 의원을 뽑아야 하는가.
“김기현이 돼야 당이 안정되고, 안정 속에서 국정과제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명은 거론하지 않은 채) 계속해서 내부 분열을 가속화시키는 후보도 있고, 당대표로서 총선에 참패한 지 얼마 되지 않은 후보도 있다. 어느 쪽을 보더라도 안정 속에서 당을 대통합할 사람은 김기현뿐이다.”
박민지 박성영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