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장의 계좌번호가 적힌 부고 메시지가 시민들에게 보내진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이를 두고 비서실의 실수였다는 취지의 해명이 나왔지만,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22일 지역 주민 등에 따르면 이상호 태백시장은 지난해 12월 모친상을 치르는 과정에서 자신의 계좌번호가 담긴 부고 메시지를 카카오톡 등 SNS를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 보냈다. 부고 메시지에는 이 시장의 이름이 상주 이름으로 적혀 있었다.
또 해당 문자에는 이 시장의 은행 계좌번호도 포함돼 있었다. 이 시장은 “코로나19 상황으로 문상이 쉽지 않음을 잘 알고 있기에 불가피하게 계좌를 알려드리오니 넓은 마음으로 혜량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메시지도 첨부했다.
그러나 당시 이 같은 부고 메시지가 이 시장과 별다른 인연이 없는 주민들에게까지 보내진 것으로 드러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이 시장은 “안동에서 어머님을 모시면서 비서팀에 평소 카카오톡을 주고받았던 분들에게 부고를 전해 달라고 부탁했는데 계좌번호까지 넣은 것 같다”며 “부고장을 받으신 분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공유하면서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퍼진 것 같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결과적으로 모든 것이 저의 불찰이고 모든 책임도 저에게 있다. 주민들에게 정말 송구스럽고 죄송하다. 추후 이 같은 일이 없도록 각별히 주의하겠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이 시장이 일반 시민들에게 무작위로 문자를 보낸 경우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강원도당은 성명을 내고 “현직 태백시장의 부고장이 태백시민들에게 무작위로 발송된 것도 문제지만, 부고장에 조의금을 보낼 시장 명의 은행 계좌번호를 버젓이 넣는 것은 매우 부적절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태백시민들에게 무작위로 부고장을 발송한 것은 명백한 개인정보보호법과 공무원 행동강령 위반”이라면서 “‘오얏나무 아래에서는 갓끈을 고쳐 매지 말라’는 격언을 이 시장은 명심하고, 앞으로는 신중하게 처신하기를 바란다”고 경고했다.
국민일보는 우리 주변에서 벌어지는 각종 사건·사고를 추적합니다.
쉽고, 편하게 '카카오톡'(ID : pandan22)으로 제보 내용을 보내주세요.
기자의 제보 전용 계정입니다.
제보자의 신원은 안전하게 보장됩니다.
쉽고, 편하게 '카카오톡'(ID : pandan22)으로 제보 내용을 보내주세요.
기자의 제보 전용 계정입니다.
제보자의 신원은 안전하게 보장됩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