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2일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와 쌍방울 그룹의 대북송금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도지사실을 포함한 경기도청을 압수수색한 것과 관련해 “‘검(檢)주국가’의 실체를 똑똑히 봤다”며 강력 반발했다.
김 지사는 이날 저녁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오늘 매우 어이없는 일을 겪었다. 수사 중인 사건은 수년 전 일이고, 저는 이화영 전 부지사와는 일면식도 없다”며 이같이 비판했다.
그는 “지금 청사로 도청을 이전한 것은 2022년 5월이고, 제 컴퓨터는 취임한 7월부터 사용한 새 컴퓨터”라며 “아무것도 없을 걸 알면서 압수수색 했다고밖에 볼 수 없다. 코미디 같은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경기도는 검찰 수사에 최대한 협조해왔다. 그러나 열세 차례 이상 진행된 압수수색과 검찰권 오·남용으로 도 행정 마비가 빈번했다”며 “그 피해는 온전히 도민에게 돌아가고 있다. 이게 대통령의 뜻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대한민국 시계를 얼마나 거꾸로 돌리려고 하나. 권위주의 시대로 돌아가자는 것인가. ‘민(民)주국가’가 아니라 ‘검(檢)주국가’라는 말이 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라고 성토했다. 이어 “오늘 제가 그 실체를 똑똑히 봤다. 이런 무도함이 계속된다면 국민은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수원지검 형사6부는 이날 경기도청 남·북부청사, 경기도의회 등 19곳에 검사와 수사관 등을 보내 압수수색을 벌였다.
이와 관련해 김진욱 경기도 대변인은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어 “오늘 압수수색 대상에는 김동연 현 지사의 (업무용) PC까지 포함됐다”며 “(수사와 무관한) 도지사실을 압수수색을 하겠다는 것은 상식 밖의 일”이라고 비판했다.
경기도는 김 지사 PC에 대한 압수수색에 맞서다가 오후 들어 영장 집행에 응했으나 결국 15분간 포렌식에서 검찰이 가져간 파일은 단 한 개도 없었다고 도는 설명했다.
이에 수원지검은 입장문을 내고 “압수수색 영장은 전 경기도지사 재임 기간에 진행됐던 대북사업, 전 도지사 방북 추진, 쌍방울그룹 관련 사업에 대한 것”이라며 “형사소송법 등에서 정한 적법절차에 따라 집행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경기도의 현 도정과는 관련이 없고, 그 부분은 경기도 측에 충분히 설명하고 양해를 구했다”며 “수사 중인 혐의와 무관한 대상이나 업무 자료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한 바 없다”고 해명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