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건폭(건설현장에서의 불법 폭력)’이 민생에 끼치는 악영향은 ‘조폭(조직 폭력)’만큼 심각하다”고 말한 것으로 22일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건폭(建暴)’이라는 조어를 직접 만들었다고 한다.
‘건폭’이라는 용어는 ‘조폭’, ‘학폭(학교 폭력), ‘주폭(취중 폭력)’이라는 단어를 연상시켰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건폭’이라는 단어를 직접 만들어 사용한 것은 건설현장에서의 폭력을 척결하겠다는 강한 의지의 표현”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2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임기 내 건설 현장의 갈취·폭력행위는 반드시 뿌리 뽑겠다”면서 “‘건폭’이 완전히 근절될 때까지 엄정하게 단속해 건설현장에서의 법치를 확고히 세우라”고 지시했다. 이때, ‘건폭’이라는 조어가 처음 등장했다.
대통령실은 연일 노조의 불법행위에 대해 날을 세우고 있다.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은 21일 국무회의 토론 과정에서 나왔던 윤 대통령의 노조 관련 발언을 22일 브리핑에서 추가로 공개했다.
윤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노조가 한·미연합 군사훈련 반대를 외친다거나 채용 장사를 하고 있다”며 “이런 노조가 정상화되면 우리 기업 가치도 저절로 올라가고 일자리 또한 엄청나게 나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국가가 여기서 더이상 노조에 물러서면 경제는 어떻게 되고 기업은 어떻게 되겠느냐”며 “기업인들이 지금 우리 정부를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특히 “공정한 경쟁을 통해 노조는 노조답고 사업주는 사업주답게, 제대로 된 시장경제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우리가 올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또 타워 크레인 기사들이 관행적으로 수백만원의 ‘월례비’를 받아왔던 문제와 관련해 “이런 병폐를 바꾸기가 쉽지 않다”면서 “그러나 병도 알아야 치료가 되는 것처럼 자꾸 이런 문제를 드러내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지금 수사기관이 나서지만 일거에 해결하긴 어려울 것이고 노조의 문제를 알리기 시작하면 그것이 문제 해결의 시작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이제 끝까지 가야 한다”면서 “조금 하다 마는 게 아니라 임기 말까지 우리나라 발전을 가로막는 모든 적폐를 뿌리 뽑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윤 대통령은 노조 회계 투명성 문제와 관련해서는 “노조 조합원들도 도대체 내가 낸 회비를 집행부가 어디다 가져다 쓰는지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그러나 노조원들도 이의를 제기하지 못했다. 가만히 안 놔두기 때문”이라며 “완전히 (노조원을) 왕따를 시키고 고통을 준 것 아니냐. 그렇지만 사회 분위기 바뀌어 가면 변화도 시작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