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소나무재선충 항공방제 중지…드론·지상방제로 전환

입력 2023-02-22 14:57
강혜영 산림청 산림재난통제관이 22일 정부대전청사에서 항공방제 중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산림청이 올해부터 소나무재선충 항공방제를 중지하고 드론·지상방제로 전환한다고 22일 밝혔다.

앞서 산림청은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급속히 확산된 2015년 2만2000㏊ 규모의 항공방제를 실시했다. 하지만 항공방제에 대한 수요가 점차 줄면서 지난해에는 경남·제주 일부 지역 1000㏊에서만 진행했다.

지난해 9월 산림병해충 약제전문가협의회를 구성한 산림청은 수차례의 토론 끝에 항공방제를 중지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항공방제에 사용되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약제에 대한 국제적 규제가 강화되고, 사회적 논란 역시 심화된 만큼 항공방제를 중지해야 한다는 전문가·환경단체의 의견을 수용한 것이다.

다만 일부 지자체는 임가 소득과 직결되는 밤나무 해충, 경관자원을 훼손하는 돌발해충에 항공방제가 필요하다며 현행 유지를 요청했다. 산림청은 해당 해충 구제를 위한 항공방제는 유지하되 비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약제를 사용할 것을 주문했다.

항공방제가 중지되면 드론정밀·지상방제 등으로 방제 방식이 전환된다.

산림청은 우선 다음달 드론정밀·지상방제 사전 적정성 검토를 도입, 환경 영향을 고려한 관리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기존 드론정밀·지상방제는 사업 계획을 제출하면 방제를 실행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시·도 산림환경연구기관 등으로부터 방제 대상지 적합 여부와 선정 약제 등 사전 적정성 검토를 받아야만 사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농약·생태계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협의회를 정례화해 산림병해충 방제 약제 환경영향 연구과제를 확대하기로 했다.

강혜영 산림청 산림재난통제관은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 약제에 대한 우려를 충분히 공감해 중지를 결정했다”며 “개선된 절차가 잘 정착할 수 있도록 방제기관의 협조를 부탁드리며 방제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