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에 최다 규모 국비를 확보해 조선업 등 고용 위기 산업 중점 지원으로 경남 주력산업 재도약이 기대된다.
경남도는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공모에 전국 총액(1233억원)의 16%에 해당하는 전국 최다인 국비 197억6000만원을 확보했다고 22일 밝혔다.
사업은 시·도별 특성에 맞는 일자리 창출과 지역별 고융 위기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지원으로 신규·재취업 지원, 재직자 교육 등 인력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 사업은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 ‘지역 고용 위기 대응지원’ ‘지역혁신 프로젝트’ 등 사업 목적과 지원 내용 등에 따라 4가지로 구성된다.
도는 이번 공모 결과에 따라 247억원(국비 197억6000만원, 지방비 49억4000만원)의 사업비를 확보해 분야별 4개 사업 8325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4954명)과 재직자 고용 유지(3371명)를 지원할 계획이다.
먼저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은 도내 고용 위기 3개 시(창원, 사천, 김해)에 노동자 재취업 및 노동전환 역량강화 교육과 위기기업 대상 제품 고도화 기업 근무환경 개선, 채용장려금, 취업성공금 지급 등 고용안정 선제대응 지원센터를 운영한다.
또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는 경남 대표 주력산업인 조선업 인력양성과 고용안정을 위해 인력유입-장기재직-숙련형성의 선순환을 구축해 조선업 일자리도약 장려금, 채용예정자 훈련수당, 숙련퇴직자 재취업지원금, 조선업 내일채움공제 등 조선업 경기 재활성화에 나선다.
‘지역고용위기 대응 지원’은 조선업 도약센터를 통해 조선업 취업 상담창구를 4개 시·군(창원, 통영, 거제, 고성)에 운영, 취업 특강 등 단기 인력지원 프로그램, 조선업 취업정착금 등을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지역혁신프로젝트’는 경남의 주력 산업인 제조업 중심의 고용 창출, 일자리 질 개선 등을 지원해 현장직무 맞춤형 교육 훈련과 시제품 제작, 마케팅, 사업재편 컨설팅 등 채용연계형 기업지원으로 제조업을 고도화 한다는 계획이다.
노영식 도 경제기업국장은 “지역 주력산업의 장기화 된 위기 극복과 도내 청년, 중장년의 일자리 창출, 재직자 고용안정 강화를 위해 4개 사업 모두 내실 있게 추진 하고 내년에도 현장 수요 중심의 인력지원 방안을 찾아 정부 시책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