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대 등 의과대 없는 5개 국립대 정원 증원 등 건의

입력 2023-02-22 11:00 수정 2023-02-22 13:02
창원대 등 5개 국립대학교가 ‘의대정원 증원 및 지역 공익의료 인력육성 시스템 신설’에 대한 공동건의문을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전달했다. 창원대 제공

최근 군 지역 등 의료취약지 의료인력 부족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의대가 없는 국립대 5곳이 의대 정원 증원을 요구하고 나섰다.

국립창원대학교와 공주대, 목포대, 순천대, 안동대 등 의과대학이 없는 5개 국립대학교와 공동으로 의대 정원 증원 등에 관한 건의문을 보건복지부에 전달했다.

또 경남도도 의과대 유치를 위해 국회 법안 제출 등 중앙정치 노력 필요성 제기와 의대 유치를 위한 도민기구 설치를 추진하는 등 도민 의지 표출에 나섰다.

22일 창원대학교 등에 따르면 최근 지역 공익 의료인력 확충을 위한 권역별 국립대 의과대학 설립 공동포럼에서 의대 정원 배정과 지역 공익 의료 인력육성시스템 구축 등 공동 건의문을 채택했다.

건의문은 “수도권 편중 의료시스템 불균형에 따라 의료취약지역 국립대학 의료공백 해소와 지역 상생을 위해 권역별 국립대 의과대학 설립에 필수 조건인 의대증원 및 지역 공익의료 인력육성시스템을 신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대학은 권역별 의료취약지역 의료서비스 개선을 위해 국립대학교 의과대학 설립을 위한 의대 정원 배정과 지역 우수 인재를 선발해 지역에서 함께 성장 가능한 지역 공익 의료 인력육성시스템 구축, 의과대학 및 부속 대학병원 설립을 위한 국가적 지원을 요구했다.

박완수 경남지사도 21일 실국본부장회의에서 경남에 의과대 확충을 위해 타 시·도는 국회의원들이 법안도 제출하고 범도민 추진위원회도 발족 시켜 열정적으로 분위기를 끌고 있는데 경남은 좀 조용한 편 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문제가 과거에 범도민적으로 나서도 해결 하지 못 했던 과제들이지만 이번 새 정부 들어 과거보다 몇 배로 노력해 범도민 추진 기구를 구성하든지 해서 바람을 일으키고 중앙 정부와 중앙정치권에 계속 요구해야 경남이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남 산청군 보건의료원은 연봉 3억6000만원을 조건으로 내걸고 3번째 채용 공고를 냈으나 10개월째 내과 전문의를 구하지 못해 지역 의료 공백이 장기화되고 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