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치솟는데 취업안돼’…1월 경제고통지수 역대 최고

입력 2023-02-22 07:36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즉석조리 식품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물가는 오르고 고용은 불안하고…. 지난달 경제고통지수가 역대 1월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22일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경제고통지수는 8.8로 집계돼 1999년 6월 실업률 집계 기준 변경 이래 1월 기준으로 가장 높았다. 경제고통지수는 미국 경제학자 아서 오쿤이 고안한 지표로, 실업률과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더해 구한다.

지난달 실업률이 3.6%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내렸지만 물가 상승률이 5.2%로 1.6%포인트 오르면서 경제고통지수가 1.1포인트 상승했다. 종전 최고 기록은 2010년 1월(8.5)이었는데 당시엔 실업률이 5.0%로 물가 상승률(3.5%)보다 높았다.

전체 월간 경제고통지수를 통틀어 보면 지난해 7월(9.2)이 가장 높고, 이어 2001년 2·3월(각 9.1), 2022년 6월·2008년 7월·2001년 5월(각 9.0), 2001년 4월(8.9) 순이었다.

통상 1월은 실업률이 높게 나타난다. 고등·대학교 졸업생들이 취업시장에 뛰어들고, 겨울철에는 건설 현장 일감도 줄기 때문이다. 1월 실업률은 1년 전보다 0.5%포인트 내렸지만, 지난해 12월(3.0%)보다는 0.6%포인트, 지난해 11월(2.3%)보다는 1.3%포인트 올랐다.

실업자 수도 지난달 102만4000명을 기록해 지난해 1월(114만3000명) 이후 1년 만에 다시 100만명을 넘었다. 취업자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증가 폭이 감소하는 추세인데, 연간 취업자 증가 규모가 지난해(81만6000명)의 약 8분의 1인 10만명에 그칠 것이란 게 정부의 전망이다.

서울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일자리 정보를 보는 구직자들 모습. 연합뉴스

물가는 치솟고 있다. 물가 상승률은 2021년 4월(2.5%)부터 지난달까지 22개월째 한국은행의 물가 안정 목표인 2.0%를 웃돌았다.

물가 오름세는 작년 7월(6.3%)을 정점을 찍은 뒤 8월(5.7%), 9월(5.6%), 10월(5.7%), 11·12월(각 5.0%)에 걸쳐 대체로 둔화하는 듯했다. 그러나 전기요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5.2%로 다시 상승해 고물가 기조가 진정되지 않고 있다.

지난달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1년 전보다 28.3% 급등해 별도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도시가스 물가는 36.2%, 지역 난방비는 34.0%, 전기료는 29.5%, 상수도료는 4.0% 올랐다.

지난달 경제고통지수를 지역별로 보면 강원(13.2)이 가장 높았고 이어 인천(9.9) 경남·전남(9.7) 충북·대구(9.6) 울산(9.4) 충남(9.0) 경북(8.9) 전북(8.7) 부산·서울(8.5) 대전(8.4) 제주(8.1) 경기·광주(7.9) 순이었다.

김 의원은 “정부는 서민·중산층과 민생을 위한 고물가 폭탄 해결책 마련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