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를 30분만에”…27년까지 로봇·드론 배송 상용화

입력 2023-02-20 16:56
경기도 화성시의 롤링힐스 호텔에서 운영 중인 실내외 배송 로봇. 현대자동차그룹 제공

오는 2026년에는 로봇이, 2027년에는 드론이 배송에 나선다. 또 새벽배송을 넘어 30분, 1시간 배송 시대를 열기 위해 도심 내 소형물류센터(MFC·Micro Fulfillment Center) 입지를 허용한다.

국토교통부는 20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스마트 물류 인프라 구축방안’을 발표했다.

국토부는 무인 배송을 조기에 상용화하기 위해 민간의 기술개발 및 실증을 지원하고, 물류 전용 테스트베드(시험 공간) 조성도 추진한다. 또 무인배송 법제화와 안전기준 마련 등 신기술의 일상 안착을 위한 제도적 기반도 단계적으로 닦을 예정이다.

이와 함께 오는 6월 플랫폼, IT 등 여러 분야의 기업이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가칭 스마트 물류 발전협의체)를 구성해 사업화 모델을 발굴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인공지능(AI) 기반 당일배송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 도심 내 주문배송시설(MFC)의 입지를 허용하기로 했다. MFC는 주문 수요를 예측하고 재고를 관리해 주문 즉시 배송할 수 있도록 구축하는 시설을 뜻한다. 민간의 낙후된 물류창고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민간의 첨단 물류기술 연구·개발 지원도 강화할 예정이다.

더불어 2027년까지 기존의 도시철도를 활용한 지하 물류 운송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 물류 전용 지하터널에 대한 기술개발도 추진한다. 아울러 온도·습도에 민감한 화물을 콜드체인(저온 신선 유통체계) 기반으로 운반하는 기술을 민간이 개발할 경우 세제 혜택을 주기로 했다.

지난 2020년 한 작업자가 인천공항 운영 현장에 시범 도입된 근력보조 웨어러블 로봇을 착용한 모습. 인천국제공항공사 제공

인천공항과 신공항에는 스마트 항공 화물조업체계를 구축한다. 기존 화물터미널을 자동화·디지털 기법을 도입한 스마트 터미널로 순차 개조하고 자율주행 차량, 웨어러블 조업 장비 등을 도입한다.

이와 함께 국내·외 물동량, 창고, 수출입 정보 등 산재해 있는 물류 정보를 통합해 육·해·공 물류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를 민간에 개방해 기업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방침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국가 경제를 이끄는 핵심산업으로 성장한 물류 산업이 우리나라의 초일류 국가 도약에 일조할 수 있도록 이번 대책을 마련했다”며 “물류 산업의 새로운 혁신을 통해 국민의 삶이 더욱 편리해지고, 우리 기업이 세계로 나아감과 동시에 국가 경제가 한층 더 성장하고 도약할 수 있도록 대책 추진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은초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