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상반기 경기부양에 24조원 투입…민생 회복 마중물 투자

입력 2023-02-19 15:53
지난 1월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에서 한 거주민이 얼어붙은 계단을 내려가는 모습. 연합뉴스

서울시가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해 대규모 투자사업 등 경기 부양용 예산 24조원을 상반기 조기 집행한다. 또 취약계층을 위한 교통비 지원을 확대하고 19만개의 직접 일자리를 창출한다.

서울시는 이같은 내용의 민생경제 활력 회복 대책을 시행한다고 19일 밝혔다. 우선 투자사업이나 물품구매 등 경기 부양 효과가 큰 예산 39조원 중 24조2000억원(62.1%)을 사반기에 투입한다. 시 관계자는 “연간 예산을 상반기에 집중 투입해 경기 회복을 꾀하려 한다”며 “부족한 예산은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공사발주 감소와 착공 지연 등으로 악화하는 건설 경기를 부양하고 유망 산업 투자 확대를 위해 대규모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을 추진하고, 신성장 산업에 선제 투자한다. 경부·강변북로 재구조화, 도시철도망 구축 등 대규모 사업 계획을 적기 추진해 민간투자 마중물 역할에 나설 방침이다. 또 고도지구 재정비, 준공업지역 규제 혁신 등 재개발·재건축 및 도시계획 규제를 완화해 건설 경기 활성화를 타진한다.

다음 달 ‘서울창업허브 스케일업센터’를 강남에 최초 개관하고, 해외 창업거점을 아시아, 중동, 유럽 등 10곳으로 확대해 스타트업 기업의 성장을 위해 창업 생태계 고도화를 꾀한다. 혁신 기술 연구개발(R&D)에 402억원을 투자하고 5조원 규모의 ‘서울 비전 2030 펀드’도 조성할 예정이다.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우선 지하철 장거리 승객을 위한 ‘거리 비례용 정기권’의 할인율 확대를 적극 검토한다. 하반기부터는 장애인 버스요금을 전액 지원하고, 자립 준비 청년에게 교통비 지원을 신설하는 방안도 정부와 협의키로 했다. 어르신과 장애인, 여성 등 취약계층을 위해 동행일자리 사업으로 1만360개의 일자리를 만드는 등 19만개 직접 일자리를 창출한다.

상 물가 관리를 위해 시민이 자주 구매하는 농산물 5종(무·대파·배추·양파·오이)의 경우 전년 대비 가격 폭등 시 농민에게 출하 장려금을 인상해 가락시장 내 공급량 확대를 추진한다. 도매시장 유통인과 대형마트 등이 참여하는 ‘물가안정대책 협의체’도 구성해 급등 품목에 대한 판매마진을 없애 시중 대비 최대 20% 인하된 가격으로 농산물을 공급한다. 서울사랑상품권도 5897억원 규모를 순차 발행해 가계 경제 부담 완화에 나선다. 연내 자치구 상품권 5000억원, 광역 상품권 500억원, 배달전용 상품권 200억원 등을 발행할 예정이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