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부상자회와 공로자회가 주도하는 특전사 동지회의 국립5·18민주묘지 합동 참배가 기습적으로 이뤄졌다. 5·18 희생자들의 상주격인 5·18유족회와 시민사회단체의 반대를 의식했다는 분석이다.
국립5·18민주묘지관리사무소는 “황일봉 5·18부상자회장과 정성국 5·18공로자회장, 특전사 동지회원 20여명이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추념탑 앞에서 참배했다”고 19일 밝혔다.
황 회장과 특전사 동지회 회원 등은 이날 오전 9시 55분쯤 추념탑 참배를 마친 뒤 5분여 만에 5·18묘지를 빠져나왔다. 이들은 정작 5·18 희생자들이 안장된 묘소는 참배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사전 예고 없이 기습적으로 이뤄진 이들의 참배에서 특전사 동지회들은 군복과 베레모, 군화를 착용했다. 하지만 추념탑 참배 때 ‘검은 베레모’는 벗어달라는 묘지관리사무소 요구를 받아들여 참배 때 베레모는 쓰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특전사 동지회 등의 기습 참배는 지역 사회에서 불거진 합동 참배 반대 여론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광주 5·18유족회와 시민사회단체, 광주시의회 등은 5·18부상자회와 특전사 동지회가 ‘화해와 용서’를 주제로 한 합동 참배와대 국민 공동 선언식 개최를 예고하자 최근 성명서 등을 통해 이를 반대하고 나섰다.
이들의 기습 참배를 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직후 지역 시민단체들은 “특전사가 1980년 이후 광주에서 두 번째 군사작전을 펼쳤다”며 맹비난하고 있다.
광주전남추모연대 한 관계자는 “부상자회와 공로자회는 무엇이 부끄러워 남몰래 국립5·18민주묘지를 참배했느냐”며 “특전사와 야합하더니 흡사 군사 작전을 방불케하는 행동을 보였다”고 비판했다.
5·18묘지를 기습 참배한 부상자회와 특전사 동지회는 이날 오전 광주 서구 5·18 기념문화센터에서 ‘포용과 화해와 감사 대국민 공동 선언’을 개최한다.
부상자회와 동지회는 매년 1회 이상 5·18묘지와 국립서울현충원 합동 참배를 정례화한다는 행동강령 등을 담은 ‘대국민 공동선언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공동선언문에는 5·18 정신 계승·발전에 서로 협력하고 5·18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당시 계엄군 장병을 돕기 위한 법적·제도적 지원을 위해 함께 노력한다는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
광주지역에서는 특전사 퇴역군인 모임인 동지회의 5·18묘지 참배의 적절성 여부를 둘러싼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포용과 화합’ 차원에서 5·18 이후 ‘가해자이자 피해자’로서 같은 고통을 겪고 있는 특전사 동지회와 5·18묘지를 합동 참배하자는 찬성론과 40여 년 동안 염원해온 책임자 처벌 없이 면죄부만 주게 된다는 반대론이 팽팽하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