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외국인 10명 중 7명 “재난 회복 과정 차별 처우”

입력 2023-02-19 11:00

경기도에 거주하는 외국인 10명 중 7명이 자연 재난이나 사회 재난 회복 과정에서 한국인과의 차별적 처우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외국인 인권지원센터는 지난해 6~7월 중국·러시아·베트남·나이지리아 등 27개국 출신 외국인 주민 430명을 대상으로 한 이러한 내용 중심의 ‘2022 경기도 외국인 주민 재난안전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태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재난을 회복하는 과정에서 ‘한국인과 외국인의 차별적 처우가 있다’는 응답(복수 응답)이 72.4%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어 불평등한 피해 보상(10.7%), 한국 정부의 무관심 또는 무시(5.6%), 출신국이나 지역에 대한 비난(4.3%), 외국인에게 책임을 떠넘김(2.6%) 등 순이었다.

외국인 주민들은 재난 경험 시 가장 먼저 도움을 요청할 곳으로 112나 119 등 정부 기관(47.7%)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외국인 주민 지원센터 등 민간단체(17.9%), 가족(12.6%) 순이었다.

재난이나 위험한 상황에서 행정기관에 도움을 요청할 때 가장 어려운 점으로 ‘언어 소통의 불편함’(50%)을 답했다.

경기도청과 현 거주지의 시청이 재난 예방과 복구를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보통이라는 응답이 44.9%로 가장 많았다. 잘한다(41.9%)와 매우 잘한다(10.2%)는 응답이 뒤를 이어 도와 시의 재난대응 역량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경기도 재난안전 정책의 문제에 대해(복수 응답) 법과 제도의 미비가 53.5%로, 절반이 넘었다.

조사에 참여한 외국인 주민의 89.1%는 자신들도 한국 사회의 구성원이기 때문에 한국 정부의 재난 규정에 포함돼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재난 예방 및 대응, 복구 과정에 참여 의사를 가진 외국인 주민도 68.6%에 달했다.

연종희 도 외국인정책과장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주민의 재난정보 접근권과 재난정책 참여를 위해 재난 관련 정보와 재난 대응 매뉴얼의 다국어 제작과 배포 등 필요한 조치들을 적극적으로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