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은 난방비 폭탄인데…가스공사 등 수천명 억대 연봉 수령

입력 2023-02-17 09:51 수정 2023-02-17 11:49
28일 오후 서울시내 한 건물에서 한국가스공사 협력사 직원이 가스계량기를 검침하고 있다. 뉴시스

서민들이 난방비 폭탄을 맞은 가운데 경영난을 호소해온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의 억대 연봉자 수가 대폭 증가해 5000명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한전과 가스공사는 적자 사태 해소를 위해 난방비를 올릴 수 밖에 없다고 강조해왔는데, 정작 경영 정상화를 위한 자구 노력에는 소홀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주환 국민의힘 의원이 17일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에서 제출받은 ‘연도별 수익성 및 복리후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두 기업에서 억대 연봉을 받은 직원은 총 5004명에 달했다. 한전과 가스공사의 전체 직원 수는 지난해 기준 2만7689명이다. 평균 5.5명 당 1명꼴(약 18.1%)로 억대 연봉을 받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한전의 억대 연봉자는 총 3589명으로, 전년 대비 9.1% 증가했다. 한전 역대 연봉자는 전체 직원 2만 3563명 중 15.2%였다. 2021년(3288명)보다 301명 늘어난 숫자다. 가스공사는 전체 직원(4126명)의 34.3%에 달하는 1415명이 억대 연봉을 받았다. 직원 3명 중 1명 꼴이다. 가스공사에서는 지난해 473명이 새롭게 억대 연봉자가 됐다.

정부는 지난해 30조8000억원으로 추산되는 한전의 영업적자를 메꾸기 위해 올해 전기 요금을 29.5% 인상했다. 가스요금도 지난해 36.2% 올렸다. 정부는 누적 적자가 9조 원에 달하는 한국가스공사 경영난 해소를 위해 올 2분기부터 요금을 더 인상할 계획이다. 올 들어 한파가 몰아치면서 2월 관리비는 전달보다 훨씬 높게 나올 거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이주환 의원은 “난방비 폭탄과 전기요금 인상 등 갈수록 국민 살림은 팍팍해지는데 공공기관은 그들만의 잔치를 벌이면서 대규모 적자 책임을 국민에게 전가하고 있다”며 “공공기관이 허리띠를 더욱 졸라 매는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전은 “24시간 전력설비 운영을 위해 휴일 및 야간 근무수당 지급이 불가피한 교대 근무자 661명이 억대 연봉자에 포함됐다”며 “지난해부터 14조3000억원의 재정건전화 계획을 수립해 이행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어 “올해 임원 임금 인상분 전액을 반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가스공사의 억대 연봉자에도 24시간 가스공급 목적으로 설치된 관리소 교대 근무자 577명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스공사는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공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뼈를 깎는 노력을 다하여 경영혁신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종=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