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16일 발간한 ‘2022 국방백서’에서 북한이 핵탄두 제조에 필요한 플루토늄을 70여㎏ 보유한 것으로 공식 평가했다. 2016~2020 국방백서(2년마다 발간)까지 50여㎏으로 평가하던 북한의 플루토늄 보유량을 6년 만에 재평가한 것이다.
군 당국은 북한의 기술력을 고려할 때 플루토늄 약 6㎏ 이하 분량으로 핵탄두 1개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플루토늄 5~6㎏당 핵탄두 1개를 제조한다고 하면, 북한은 지난해 기준으로 12~14개의 핵탄두를 만들 수 있는 플루토늄을 보유한 것이다.
국방부는 이번 백서에서 “북한은 1980년대부터 핵물질을 생산해 왔으며 최근까지도 핵 재처리를 통해 플루토늄 70여㎏,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을 통해 고농축 우라늄(HEU) 상당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기술했다. 또 “2차례의 미·북 정상회담에서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받지 못하고 협상이 결렬되자 2021년 초부터 영변 핵단지 내 플루토늄과 관련된 시설을 재가동하는 등 핵물질 생산을 재개했다”고 설명했다.
직전 2020 백서까지 50여㎏이던 플루토늄 보유량이 2년 새 20㎏가량 증가한 것에 대해 군 관계자는 “북한이 2021년 폐연료봉을 재처리해 플루토늄을 약 20㎏ 추가 생산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핵 소형화 능력에 대해선 “6차례의 핵실험을 고려 시 핵무기 소형화 능력도 상당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평가된다”고 백서에 기술됐다. 아울러 국방부는 “2022년 (풍계리 핵실험장) 3번 갱도를 복구하는 등 핵능력 고도화를 위한 추가 핵실험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다”고 밝혔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과 극초음속미사일 2종(활공체형·원뿔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북극성-4ㅅ’과 ‘북극성-5ㅅ’, 고중량탄두형 단거리탄도미사일과 근거리형 탄도미사일 등 7종의 북한 신무기도 백서에 새롭게 수록됐다.
또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미국의 확장억제 실행력 강화’는 백서에 4쪽에 걸쳐 서술됐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