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최근 전기요금 인상 등 대내외 농정 변화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농업인 경영안정대책에 572억원을 긴급 투입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최근 유가와 각종 농자재 가격 상승하는 상황에서 전기요금이 세 차례에 걸쳐 큰 폭으로 인상돼 농업인의 고충 경감을 통해 경영 안정화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이에 경남도는 농사용 전기요금 인상분 50% 지원과 시설원예농가 난방유류 가격 차액분 50% 지원, 무기질·유기질 비료 지원, 양봉농가 꿀벌 사육기반 안정지원, 한우 소비 촉진 등 572억원을 긴급 투입 한다는 계획이다.
농사용 전기요금 인상액의 50% 지원은 올해 1~3월분 농사용 전기요금 인상액의 50%를 시·군과 협력해 지원할 계획이다. 전기요금은 후불제로 6월까지 도내 20여만 농가가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되며 93억원 정도가 투입된다.
시설원예농가 난방유류 지원은 고유가에 난방비 비중(20% 이상)이 높은 시설원예 농가의 난방비 부담과 채소가격 상승에 따라 지난해 10~12월분 시설원예 농가 난방 유류의 평균 가격과 기준가격 차액의 50%를 지원, 전액 국비로 28억5000만원을 투입한다.
무기질비료 269억원과 유기질비료 266억원을 수급안정에 투입한다. 최근 비료 가격급등에 따른 농업인의 경영비 부담경감을 위해 가격 상승분의 80%로 5만1476t의 비료 구입비를 지원한다.
지원대상은 농업경영체 등록농지에서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업인으로 농가별 지원물량은 최근 3년간 구입한 비료 평균 구매량의 95% 이내로 지원할 계획이다.
또 최근 3년간 농협에서 비료 구매 내역이 없는 신규 농업인이나 지난해보다 재배면적이 증가한 농업인, 작목전환 농업인은 농업경영체 등록확인서 등 증빙서류를 지역농협에 제출하면 된다.
농업경영체에 등록한 농업인은 별도의 신청 없이 지역농업협동조합과 지역축산업협동조합, 품목농업협동조합을 통해 올해 12월10일까지 비료 가격 상승분의 80%를 사전 차감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
꿀벌 사육기반 회복과 경영안정을 위해 100억원을 긴급 투입해 꿀벌 피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양봉농가의 사육기반 회복과 안정 대책을 추진한다.
도는 꿀벌 사육 안정을 위해 번식용 꿀벌(종봉) 4만 군(통)을 지원하고 현재 정상꿀벌 10만5000 군(통)을 활용, 이를 2배로 증식해 모두 29만 군(통)으로 회복해 평시 사육군수의 83%까지 올릴 계획이다.
100억원 가운데 도비 15억원과 시·군비 35억원으로 50억원을 보조 지원하며 나머지 50%는 농가에서 부담한다. 단가는 1군당 25만원으로 산정해 모두 4만 군을 지원하게 된다.
지원대상은 도내 양봉등록 농가로 재래벌(토봉)은 10군 이상, 개량벌은 30군이상 농가에 해당하며 도내 양봉 농가수의 80%, 사육 군수의 97%가 지원받게 된다.
한우 사육 마리수 증가와 소비 위축으로 인해 가격이 하락하는 것으로 보고 암소 감축을 통해 사육 마리수를 조절하고 가격 안정화를 한다는 계획이다.
한우고기 소비 확대를 위해 농축협과 협력해 하나로마트 등에서 연중 10~50%(평균 20%) 정도의 가격 할인을 통해 소비 촉진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대형 육가공업체나 급식업체 등에서 제조·사용되는 육가공품과 식재료 등에 한우 사용 시 차액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사료값 상승에 따라 하계 조(풀)사료 재배 확대로 농가 생산비를 절감할 계획이며 전략작물 직불금 사업으로 ha당 43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한우 사육 마리수 감축을 위해 내년 상반기까지 전국의 암소 14만 마리를 감축하는 데 대해 도에서는 한우협회에서 건의한 ‘암소 도태 장려금 지원’과 연계해 추진을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정연상 도 농정국장은 “고유가로 농업용 전기요금과 난방유류, 농자재 가격 등이 대폭 상승해 농업인이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며 “이번 경영안정 대책을 통한 농업인의 경영 부담 완화로 활력이 넘치는 농촌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 하겠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