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경제자유구역 조성 착수…신성장동력 확보한다

입력 2023-02-14 14:27
14일 충남도청에서 개최된 충남 경제자유구역 지정 관련 타당성 조사 및 개발계획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충남도 제공

충남도가 ‘베이밸리 메가시티’의 마중물이 될 경제자유구역 조성을 본격 추진한다.

도는 14일 도청 중회의실에서 ‘충남 경제자유구역 지정 관련 타당성 조사 및 개발계획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충남 경제자유구역은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취임 후 1호로 결재한 베이밸리 메가시티 건설을 위한 세부 사업이다.

연구용역은 산업연구원이 10개월간 수행하게 된다. 관련 법령과 지침, 경제자유구역 지정·운영 현황을 살피고 충남 경제자유구역의 필요성과 발전 잠재력, 추진 방향과 중장기 확장 계획, 기대효과 등을 분석한다.

여기에 충남 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을 제시하고 주력 업종 및 혁신 생태계 조성 방안, 외국인 투자 기업 및 국내 복귀 기업의 유치 전략 등을 내놓는다.

도는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계획을 수립해 올해 하반기 산업통상자원부에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충남 경제자유구역 조성 및 국내·외 기업 유치를 이끌 ‘경제자유구역청’은 2025년 개청할 전망이다.

도는 경제자유구역 지정 시 외국 자본 및 기술 유치를 통한 핵심 기술의 국산화, 신산업에 대한 실증 기반 등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국내·외 앵커기업 유치와 산업단지 미분양 해결, 국내·외 기업 투자 유치, 대한민국 균형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효과도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형식 충남도 정무부지사는 “기업들의 투자 위축으로 자동차산업을 제외한 도내 전 산업의 부진이 가시화 되고 있다”며 “충남의 산업이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통한 외국 자본과 기술 유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제자유구역은 외국 투자 기업 및 국내 복귀 기업의 경영 환경과 외국인들의 생활 여건 개선을 위해 조성된 지역으로 산업·상업·주거·관광이 포함된 복합 개발 지역이다.

우리나라 경제자유구역은 현재 9개 구역 99개 지구가 지정돼 있다. 2021년 기준 7124개 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고용 인원 21만여명, 매출액은 135조1863억원이며 수출액은 29조1206억원에 달한다.

충남에는 2008년 황해경제자유구역이 지정됐지만 글로벌 경제 위기에 따른 투자 유치 어려움 등으로 2014년 해제됐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