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은행의 고금리에 따른 국민의 고통이 크다”며 금융위원회에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고금리 국면에서 막대하게 불어난 시중은행들의 당기순이익을 ‘돈 잔치’에 비유했다.
윤 대통령은 1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은행의 ‘돈 잔치’로 인해 국민의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금융위는 관련 대책을 마련하라”고 말했다고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이 서면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윤 대통령은 “은행에 공공재적 성격이 있다. 수익을 국민, 자영업자, 소상공인 등에게 이른바 ‘상생 금융’ 혜택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배려하고 향후 금융시장 불안정성에 대비한 충당금을 튼튼하게 쌓는 데에 쓰는 것이 적합하다”고 제안했다.
4대 금융지주인 KB·신한·하나·우리의 지난해 합산 순익은 15조8500억원으로 집계됐다. 그중 이자로 발생한 이익의 합산은 39조6800억원으로, 전년(34조7100억원) 대비 5조원가량 늘었다.
이들 금융지주는 지난해 구조조정 과정에서 막대한 퇴직금을 지급했고, 향후 주주환원책으로 전환할 계획도 밝혀왔다. 각각 1500억~3000억원어치 자사주 매입 후 소각하는 방식을 포함해 주주환원율을 30%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반면 이들 금융지주의 사회 환원은 소홀하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인터넷‧모바일뱅킹 이체 수수료 면제를 발표한 은행도 있지만, 핀테크 기업들의 운영 정책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 실질적으로 체감할 소비자 편익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