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민, 가장 취약한 재난 분야 “사회재난”

입력 2023-02-12 12:38
국민일보DB

인천연구원은 인천에 사는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재난안전 의식을 조사한 결과에서 가장 취약한 재난 분야가 사회재난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전체 응답자 중 31.4%는 사회구성원이 각종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재와 교통사고 등의 사회재난을, 뒤를 이어 31.3%가 풍수해와 황사 등 자연재난을 가장 취약한 재난 분야로 꼽았다.

사회재난의 세부 취약 유형에 대해서는 도로교통 사고(중복 포함 64.1%), 범죄(41.6%), 대기오염·미세먼지(41.2%) 등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 직접 경험한 사회재난 유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대기오염·미세먼지(34.8%)다. 이어 감염병(28.3%), 도로교통 사고(26.8%), 화재·폭발(21.7%) 등의 순이다.

또 응답자의 대부분은 인천시 재난안전정책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안전정책 중 안전대책 보완 추진, 안전문화 실천과제 발굴 등을 위한 안전문화운동추진협의회 운영에 대해 모른다고 답한 비율은 무려 81.8%에 달했다. 유엔 재난위험경감사무국이 인증한 복원력 허브에 대해서는 80.5%, 생활안전 공공애플리케이션 안심in에 대해서는 69.6%가 모른다고 답했다.

이에 인천연구원은 재난 유형별, 직무 성격별로 나뉜 담당 부서와 소통 창구를 일원화하는 총괄조정담당관의 설치를 대안으로 내놨다. 총괄조정담당관을 통해 재난안전 거버넌스 주체 의견을 청취·조정할 뿐 아니라 재난이 발생하면 재난안전대책본부와 재난현장 간의 소통 창구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아울러 정보공유 및 홍보 확대, 교육 기능 강화 등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조성윤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번 조사에서 재난안전정책 인지도 등이 나이와 지역에 따라 편차가 있는 것으로도 나와 연령별·지역별 맞춤형 정책 마련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