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8일 정책브리핑을 통해 학령인구 감소, 청년인구 유출에 따른 위기 대처방안과 의대, 법전원 유치 등 교육 분야 주요 신규시책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최근 학령인구의 감소(2018년 43만7000명→2022년 41만1000명)와 청년인구의 수도권 유출(20대 순유출 1만6000여명)로 지방대학은 신입생 미충원 위기에 직면하고 있고 지역 기업도 구인난이 심각한 상황이다.
청년층의 탈 경남 원인은 교육과 일자리로 경남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지역산업과 연계한 우수인재 양성과 지방대학의 혁신을 통한 역량 강화가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다.
교육부는 지난 1월과 2월 지역 맞춤 교육개혁을 위해 지방대 지원 권한을 지자체로 이양하고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구축과 글로컬 대학을 육성해 지자체 주도로 지역주력산업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도는 지역인재가 도내에서 교육받고 도내 기업에 취업해 지역에 정주할 수 있도록 도내 산업 연계 지역인재 양성과 지역인재 도내 기업 취업강화, 의대 및 법학전문대학원 유치, 교육자유특구 시범지역 선정추진 등을 한다는 계획이다.
라이즈(RISE)는 대학의 행·재정 지원 권한을 지자체에 위임·이양하고 지역발전과 연계한 전략적 지원으로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추진하는 체계로 교육부 공모를 통해 올해 5개 내외 지자체를 시범지역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시범지역 선정 시 대학재정지원사업을 통합하고 지자체 전담기관(RISE센터, 비영리 법인)을 구성해 지역주도 대학재정지원사업 예산 지원과 지자체 주도로 재정지원계획을 수립해 개별 대학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또 지역발전계획과 대학 특성화 분야 등을 고려해 지역의 실수요에 기반한 대학지원계획을 수립하고 지역대학을 지원, 지역이 키우고 지역을 살리는 대학을 육성할 수 있다. 도는 라이즈 시범지역 선정 시 지역산업 연계 우수 인재 양성을 선도한다는 방침이다.
경남의 전략산업인 항공, 방산, 원전 산업과 연계해 도내 대학이 지역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글로컬대학(지역 발전 전략과 연계해 지역발전 선도와 지역 내 다른 대학의 성장을 견인하는 특화 분야 세계적인 대학)육성 사업에도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한편 교육부는 유·초·중등·대학까지 학교설립에서 운영까지 교육 관련 규제를 완화 하는 지역별 맞춤형 공교육 ‘교육자유특구’를 올해 하반기 운영방안 마련 후 내년부터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도는 도 교육청, 대학, 경남연구원 등과 논의해 지역 특성에 맞는 경남형 교육자유특구 모델을 마련하고 교육자유특구 시범지역 선정을 준비할 예정이다.
도는 지역인재의 도내 기업 취업 강화로 지난해 지역혁신플랫폼 기업협력모델사업을 통해 볼보그룹코리아 등 7개 도내 대·중견기업에 126명 인턴십을 운영, 74명이 취업했으며 NHN아카데미를 통한 지역 정보통신(IT)인재를 육성해 12명을 NHN계열사에 채용연계 했다.
올해는 USG공유대학 1기생 300명 수료생의 전문교육 분야인 스마트제조엔지니어링, 스마트 제조 정보통신기술(ICT), 스마트 도시·건설 분야의 도내 기업과 지역혁신플랫폼에서 선정한 30여 개 산업용 소부장 우량 히든챔피언기업에 취업을 연계한다.
특히 ‘경남 코딩 오픈 메타캠퍼스’를 구축, 산업분야 전문가를 영입해 코딩 등 도내 유수 기업이 원하는 교육과정을 운용한다. 이를 통해 지역의 정보통신(IT)·소프트웨어(SW)분야 인재를 양성해 도내 기업에 필요한 정보통신(IT) 인재를 취업 연계할 계획이다.
또 도내 전략산업인 항공·방산·원전 분야 우수 인재 육성을 위해 지역인재 육성특별팀(TF)중 대학 고교 인재육성 분과와 관련 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과 우수인력 양성·유치·지원책 마련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경남의 공공의료확충과 산업특화 법조 인력양성을 위한 의대, 법전원 유치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도내 의대 정원은 76명으로 전국 40개 대학 정원 3058명의 2.5%수준에 불과하다.
경남은 필수 의료 강화와 지역의료 격차 해소를 위해 특별팀(TF)을 구성해 복지부, 교육부와 의대 신설과 의대 정원 확대를 위해 지속 협의하고 정치권·지역의료계 등과도 전방위적 협력을 통해 의대 유치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또 경남은 지방법원은 있으나 법학전문대학원이 없는 유일한 지역이다. 산업특화 법조 인력 양성과 산업별 전문변호사 양성을 위해 경남 법학전문대학원 유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도는 지역인재육성 특별팀(TF) 가운데 법학전문대학원 유치 분과를 구성해 법학전문대학원 유치를 위한 분위기 조성과 교육부, 법무부와 법학전문대학원 경남 유치를 위해 지속 협의할 계획이다.
하정수 도 교육담당관은 “올해 지방대학 지원 권한을 이양하는 등 교육부의 교육정책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도는 대학, 기업체와 신속 대응해 지방대학의 위기를 타개할 계획이다”며 “지역인재가 지역대학에서 교육받고 지역에 정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