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에 적개심’ 지적에 한동훈 “화양연화는 文정부 초기”

입력 2023-02-08 21:28 수정 2023-02-08 22:09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8일 국회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8일 열린 국회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더불어민주당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사사건건 부딪치며 설전을 벌였다.

민주당은 한 장관을 향해 “문재인정부와 민주당에 강한 적개심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고, 한 장관은 “제 검사 인생 화양연화(인생에서 가장 찬란한 시절)는 문재인정권 초반기 (박근혜정부 관련) 수사들일 것”이라고 맞받았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8일 국회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 첫 질의자로 나선 김민석 의원이 포문을 열었다.

김 의원은 한 장관에게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나 윤석열 대통령은 현직일 때 여론조사에서 빼달라고 요청했는데, 한 장관은 ‘이름을 빼는 게 더 호들갑’이라고 했다”며 “판단이 다른 이유는 소신 때문인가 아니면 결국 정치를 하게 될 것 같다는 운명적 예감인가”라고 물었다.

한 장관은 지난해 9월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일부 차기 대선주자 적합도 여론조사에서 자신이 언급되는 데 대한 야당 지적이 제기되자 “제가 (조사 대상에서) 빼달라 말라는 것 자체가 오히려 더 호들갑을 떠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었다.

한 장관은 김 의원을 향해 “저에 대해 과한 관심인 것 같다”며 “제 입장은 충분히 말씀드렸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장관직을 포함해 앞으로 맡을 어떤 공직이라도 걸겠다’는 발언도 문제 삼았다.

한 장관은 지난해 10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법무부 감사에서 김의겸 민주당 의원이 ‘청담동 술자리 의혹’을 제기하자, “제가 저기(술자리에) 있었거나 그 근방 1㎞ 내 있었다면 장관직을 걸겠다. 의원님은 뭘 거시겠냐”고 말했었다.

김 의원은 “‘공직을 도박하듯이 거는 것은 안 된다’고 하면서 ‘장관직을 포함해서 모든 것을 걸겠다’고도 말했다”며 “발끈하면 말이 왔다 갔다 하는 게 한동훈 캐릭터인가”라고 물었다.

이에 한 장관은 “민주당이 저에게 사과해야 한다는 말씀을 다시 한번 드리고 싶다”며 응수했다. 청담동 술자리 의혹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됐다.

그러자 김 의원은 “한 장관 캐릭터를 여쭤봤는데 다른 방식으로 답하는 것이 굉장히 능하시다”고 비꼬았고, 한 장관은 “사과하실 의향은 없으신지 다시 한번 묻고 싶다”고 꼬집었다.

한 장관은 특히 “문제가 드러나면 사과하겠다고 말했지만 아무도 제게 사과하지 않고 있다”면서 “김의겸 의원 사과를 바라는 건 아니지만 적어도 공당 차원에서 사과는 하고 넘어가야 한다. 다시 한 번 공개적으로 민주당 사과를 요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장관은 ‘검사 신상정보 공개법을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연관 짓는 것은 너무하다’는 김남국 민주당 의원 지적에는 “그 법안을 추진하는 게 이 대표를 (검찰) 수사로부터 막아주기 위한 취지가 정말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어 “부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사과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한 장관은 ‘법무부 장관이 야당에 적개심을 갖는다면 검찰에서 야당을 수사할 때 그 사건이 공정하다고 국민이 생각하겠나’라는 김영호 민주당 의원 지적에 “저는 민주당에 적개심이 없다. 비디오테이프를 돌려보면 오히려 민주당이 저한테 적개심을 드러낸 것 같다”고 답했다.

한 장관은 검사 인생 가장 빛났던 시절을 문재인정부 초반으로 꼽은 뒤 “당시에 (민주당이) 저를 굉장히 응원해줬고 지지해 준 것으로 기억한다”고 회상했다.

그러면서 “전 그때와 달라진 게 없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한 장관에게 “감정은 상해도 적개심은 제발 버리길 바란다”고 요청했고, 한 장관은 “오해가 있으면 서로 풀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