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버스요금을 동결하고 추가로 난방비를 지원해 민생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7일 경기도의회 도정 연설에서 민선 8기 올해 경기도정은 ‘민생’과 ‘미래’에 중심을 두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김 지사는 버스요금 동결과 관련해서는 “전방위적인 물가상승이 예상되는 가운데 전국 곳곳에서 대중교통 요금 인상이 논의되고 있다”면서 “버스요금마저 오른다면 도민들이 체감하는 어려움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경기도는 버스요금 동결을 시작으로 대중교통 체계를 개선하는 중장기 대책을 빈틈없이 준비해 도민들의 시름을 덜어드리겠다”고 덧붙였다.
경기도 버스 요금은 2019년 9월 1250원(교통카드 기준)에서 1450원으로 인상된 뒤 동결 중이다.
김 지사는 지난해 지방선거 당시 경기도 시내버스 요금을 서울시 수준으로 200원 인하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이에 지난달 확정한 295개 최종 공약에서는 이를 ‘시내버스 요금 부담 완화’로 담았다.
반면, 서울시는 4월 시내버스 요금을 1200원(교통카드 기준)에서 300~400원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대로 진행돼 서울시는 인상하고 경기도는 동결하면 경기도 요금이 서울시보다 더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김 지사는 난방비 폭탄으로 전국이 들썩이는 가운데 중앙정부에 광범위한 난방비 지원책을 촉구하면서 자체 예산으로 사각지대 서민을 대상으로 난방비를 추가로 지원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김 지사는 “이번 난방비 폭탄 사태는 취약계층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서민 중산층을 포함한 국민 대다수가 고통받는 사안”이라고 사안의 중대성을 강조하며 “경기도는 추경 편성을 검토해서라도 난방비 사각지대에 놓인 도민들의 생존이 위협받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200억원 규모의 예비비와 재해구호기금을 투입해 취약계층 43만5000명, 6200개 시설의 1~2월분 난방비를 지원하고 있다.
이밖에도 김 지사는 중소상공인 자금지원을 늘리고 지역화폐를 지키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도 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