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국 설치에 반대하는 ‘전국 경찰서장회의’를 주도했다가 정직 3개월의 징계를 받은 류삼영 총경이 최근 단행된 총경급 인사에 관해 “경찰 길들이기 인사”라고 비판했다.
류 총경은 6일 오후 서울 중구 경찰기념공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서장회의에 참석한 50여명의 인원 중 징계를 받거나 퇴직하는 인원을 제외한 40여명 전원에게 문책성 인사를 했다”며 “경찰청장이 자신의 소신대로 했다면 인사권 남용이고, 그렇지 않고 외풍이 불고 상부의 압력이 있었다고 하면 권력 남용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류 총경은 이번 인사를 분석한 결과, 경찰서장회의 참석 총경 50여명 가운데 28명이 한 계급 아래인 경정급 보직으로 전보됐다고 주장했다. 또 12명은 본인이 원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인사발령 6개월 만에 다른 보직으로 재발령됐다고 했다.
류 총경은 “정권에 맞서고 말을 잘 듣지 않는 사람들은 이런 식으로 치욕을 당할 것이란 메시지를 주는 길들이기 인사”라며 “정권 입맛에 맞는 인사들에게는 보은 인사를, 부당함을 제기하는 사람들에게는 보복인사를 하는 것으로 조직을 흔들고 국민을 불안하게 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국회에서 이번 인사가 과연 법대로 경찰청장이 권한을 행사했는지, 하자가 없었는지, 외풍이 있었는지를 국정조사를 통해 밝혀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류 총경은 이날 오전 윤희근 경찰청장이 기자간담회에서 보복성 인사를 부인한 데 대해서 “어떻게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냐”며 “청장 의중은 모르겠지만 이번 인사에서 대표적으로 불이익을 받은 사람은 경찰서장 회의 참석자들인데 어떻게 우연이라고 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지나가는 소가 웃을 말씀”이라고도 했다.
류 총경은 “추가 징계를 각오하고 나왔다”며 “(징계가) 두려웠다면 경찰서장 회의 시작도 안 했고 언론에 알리지도 않았다. 받는 불이익보다 잘못된 것에 대해 다툼으로써 조직이 발전하고 국민이 안전하게 된다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앞서 경찰청은 지난 2일 총경급 457명에 대한 정기 전보인사를 단행했다. 인사에서 지난해 7월 행정안전부 경찰국 신설에 반대하는 총경 회의에 참석한 총경들이 소위 ‘한직’으로 전보되면서 경찰 내부에서 ‘보복성 인사’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김승연 기자 ki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