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정부의 300억원 이상 대형 건설공사 안전대책에 더해 중소규모 공공건축공사 현장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장비’를 지원 한다.
경남도는 안전관리가 취약하고 사고 발생률이 높은 도내 중소 규모(300억원 미만)공공 건축공사 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해 ‘스마트 안전장비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지난 2019년 4월 국토교통부가 마련한 ‘건설공사 추락사고 방지 종합대책에 따른 추락 방지 지침’은 공사비 300억원 이상 공공 건설공사에 스마트 안전 장비를 의무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 통계에 따르면 300억원 미만 중소규모 건설공사에서 전체 사고사망자 중 54.1%가 발생해 중소규모 건설공사 안전관리의 선제적 지원 및 스마트 안전관리 구축이 필요하다.
이에 도는 중소규모 건축공사 현장의 안전 관리체계 마련과 중대 재해 선제 대응을 위해 도와 18개 시군의 중소규모 건축공사 신축 현장을 대상으로 ‘스마트 안전 장비 지원사업’을 한다.
‘스마트 안전장비’는 사물인터넷(IoT)기반 센서와 무선네트워크 기술 등이 결합한 장비로 도는 지능형CCTV(고정형, 이동형)와 붕괴·변위 위험경보 장비 등을 무상 지원할 계획이다.
‘스마트 안전장비 지원사업’은 위험공정인 철근콘크리트·철골·굴착공사와 타워크레인 등 건설기계 공사의 안전관리를 위해 장비를 설치하고 건축공사 현장 특성에 따라 맞춤형 장비를 지원하며 건축 관제시스템 구축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 및 안전관리를 지원 한다.
특히 도에서는 이번 사업을 시작으로 중소규모 건축공사 현장의 스마트 안전관리 체계 마련과 안전사고 예방, 스마트 안전장비 운영을 통한 안전관리 개선사례 등 우수사례를 발굴 홍보하고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허동식 도 도시주택국장은 “건축공사 현장에 스마트 안전 장비 도입으로 중대 재해 및 인명사고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하며 건축공사 현장 안전사고 제로화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