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올해부터 공공부문을 대상으로 탄소 배출량 감축에 나선다. 오는 2030년까지 현재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40%를 줄여내겠다는 것이 목표다.
부산시는 ‘2050 탄소중립 도시 부산’ 실현을 위해 공공부문 온실가스 감축과 탄소중립 생활 실천에 적극적으로 나선다고 5일 밝혔다.
부산시는 시·공사·공단에서 추진하던 에너지 목표관리제를 부산시 산하 출자·출연기관까지 확대 추진키로 했다. 벡스코와 아시아드CC 등 출자기관 2곳, 부산의료원, 부산신용보증재단, 부산산업과학혁신원 등 출연기관 17곳이 대상이다.
현재 국가정책으로 시행하고 있는 온실가스 감축 제도인 ‘배출권거래제 및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는 행정기관과 공사·공단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출자·출연기관은 대상에서 빠져 있다.
출자·출연기관은 올해부터 2030년까지 온실가스 40% 감축을 목표로 공공부문 탄소중립을 추진한다. 부산시와 공사·공단은 현행 제도에 맞게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하고 동시에 전 직원이 탄소중립 생활을 실천하도록 유도한다.
구체적으로 시와 25개 공공기관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확대, 친환경 자동차 구매, LED 등 고효율 기기 교체 등의 사업을 진행한다. 아울러 직원 탄소중립 교육, 사무실 적정온도 유지, 종이 없는 회의실, 일회용 컵 사용금지 등 생활 속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노력도 함께 추진한다.
부산시는 정책 정착과 탄소중립 문화 확산을 위해 이달 중 기관별 탄소중립 실천 서약과 실천 운동을 펼칠 계획이다. 또 온실가스 감축 운영사항 컨설팅과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우수 추진기관에는 표창 등과 함께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근희 부산시 환경물정책실장은 “탄소중립은 모두가 함께해야 달성할 수 있는 과제인 만큼, 생활 속 탄소중립 실천이 시민과 기업에도 정착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지속해서 확산 운동을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