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반려동물 양육자의 22%가 양육을 포기하거나 파양을 고려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 같은 결과가 포함된 ‘2022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2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9월 13~26일 전국 20~64세 5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반려동물 양육 가구의 75.6%는 개를 기르고 있었다. 그 뒤로 고양이(27.7%), 물고기(7.3%)를 많이 키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반려동물 양육자의 22.1%는 양육을 포기하거나 파양을 고려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그 이유로 ‘물건 훼손·짖음 등 동물의 행동 문제(28.8%)’를 가장 많이 꼽았다. 그다음으로는 ‘예상보다 지출이 많음(26.0%)’, ‘이사·취업 등 여건 변화’(17.1%)가 그 뒤를 이었다.
반려동물 1마리당 월평균 양육비용(병원비 포함)은 약 15만원이었다. 가구원으로 보면 1인 가구는 17만원이었다. 마리당 월평균 양육비용은 전년보다 약 3만원 늘었다.
2가구 중 1가구는 반려동물을 입양할 때 지인에게 분양받는 것(무료 40.3%, 유료 11.6%)으로 드러났다. 펫숍에서 구입하는 경우는 21.9%를 차지했고, 길고양이 등을 데려다 키우거나(5.9%) 지자체 동물보호 센터에서 입양(5.8%) 또는 동물보호단체 등 민간동물보호시설에서 입양(5.6%)하는 경우가 뒤를 이었다.
임영조 농식품부 동물복지정책과장은 “이번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동물 보호 및 복지에 대한 국민의식 정도와 정책 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이라며 “올해부터는 ‘동물보호 국민의식조사’를 ‘동물복지 국민 의식 조사’로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박성영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