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가 보이스피싱에 속는다고? 작년 피해 1위 ‘20대’

입력 2023-02-01 16:01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를 가장 많이 당한 연령대는 20대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보이스피싱 피해는 40~50대에 집중돼있었는데, 지난해 처음으로 20대 이하의 피해가 6000건으로 넘어서면서 연령별 1위를 기록했다. 사회 경험이 적은 20대 이하에서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범죄에 더 쉽게 속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는 1일 보이스피싱 대응 범정부 TF를 개최하고 보이스피싱 단속 성과를 발표했다.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경찰청,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국가정보원 등 관련 기관들이 일제히 회의에 참여했다. 정부는 지난해 보이스피싱 발생이나 피해 금액이 전년 대비 30% 가량 대폭 감소했다고 성과를 강조했다.

최근 5년간 보이스피싱 피해자 연령별 현황. 경찰청 제공

문제는 보이스피싱 범죄가 20대 이하 젊은 층을 적극적으로 노리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가 공개한 최근 5년간 보이스피싱 피해자 현황을 보면, 지난해 20대 이하 피해자는 6805명으로 가장 많았다. 전체 피해의 30% 가량을 차지했다.

반면 지난 2019년 기준 가장 피해가 많았던 40대(1만264명)와 50대(1만1825명)의 피해는 각각 3413명과 5378명으로 절반 이하로 크게 줄었다.

이에 대해 경찰청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한 홍보 활동이 늘면서 중장년층의 피해 예방 효과가 컸다”며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사회 경험이 부족한 20대 이하 젊은 층의 피해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피해는 더 이상 직업이나 연령, 학력을 가리지 않고 무분별하게 퍼져나가고 있다. 의사나 변호사 등 전문직 피해도 속출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처럼 피해자들의 연령별 현황이 바뀐 것은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범죄가 많이 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보이스피싱 범죄는 수사기관이나 금감원 직원을 사칭해 “범죄에 연루됐다”는 식으로 피해자를 속이는 기관사칭형 범죄와 “저금리로 대출을 해주겠다”며 금융기관 직원을 사칭해 대출을 빙자하는 대출사기형 범죄로 구분된다. 기관사칭형 범죄는 지난 2018년 6221건 발생한 이후 꾸준히 늘어 지난해 8930건 발생했다. 반면 지난 2018년 2만7911건이었던 대출사기형 범죄는 지난해 1만2902건 발생해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정부는 국내 말단 조직원부터 해외 총책 등 주요 조직원에 대한 대대적인 수사를 벌여 지난해 모두 2만5030명을 검거했다고 밝혔다. 특히 정부합동수사단은 지난해 7월 출범 이후 약 5개월 간의 합동수사로 국내외 총책 등 총 111명을 입건했다.

정부는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해 사전 예방 조치를 강화하고 범죄수단을 신속히 차단하는 등 적극적인 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