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도 부동산 총거래량 절반 가까이 줄었다

입력 2023-02-01 09:20

지난해 경기도 부동산 총거래량이 2021년보다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큰 폭의 아파트(공동주택) 거래 감소가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파악됐다.

경기도는 취득신고된 과세자료 기준으로 분석한 이러한 내용 중심의 2022년 연간 부동산 거래동향 및 현실화율 분석 결과를 1일 공개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의 경기도 부동산의 총거래량은 23만2729건으로 2021년 43만5426건 대비 무려 46.6% 감소했다. 공동주택 거래량이 8만4433건을 기록해 2021년 20만3820건보다 58.6%나 줄어 부동산 거래량 감소의 주도적 역할을 했다.

개별주택은 8554건이 거래돼 2021년 1만5735건 대비 45.6% 감소했다. 토지와 오피스텔의 경우은 거래량이 각각 12만7604건, 1만2,138건으로 2021년 각각 19만7031건, 1만8840건 대비 35.2%, 35.6% 줄었다.

지난해 가장 높은 가격으로 거래된 개별주택은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단독주택으로 57억6000만원에 거래됐으며, 공동주택도 같은 지역에 위치한 아파트가 48억원에 매매돼 최고가를 기록했다.

지난해 경기도에서 거래된 17만3021건의 부동산 현실화율을 분석한 결과, 공동주택과 개별주택의 연평균 현실화율은 각각 60%와 53%, 토지는 48%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거래량 급감에 따른 실거래가격 하락과 지난해 공시가격 상승이 맞물리며 공동주택의 현실화율은 2021년 55% 대비 5%p 상승했다. 개별주택과 토지의 현실화율은 2021년(54%·48%)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현실화율은 공시가격이 실거래가격을 얼마나 반영하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실거래가 대비 공시가격 비율을 말한다.

거래금액별로는 공동주택의 경우 3억원 미만 구간의 평균 현실화율이 58%로 나타나 저가 주택의 공시가격이 상대적으로 시세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개별주택의 경우 3억원 미만 구간의 평균 현실화율은 57%로 나타났다. 토지의 경우는 3억원 미만 구간의 현실화율이 47%인 반면, 9억원 이상 구간의 현실화율이 55%로 저가 토지일수록 공시가격이 낮은 수준으로 형성돼 있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