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겸, 대통령실 고발에 “주가조작 진실 드러나길”

입력 2023-01-30 17:19
김의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0일 오후 국회에서 대통령실이 김건희 여사에 대한 추가 주가조작 의혹을 제기한 자신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발 할 것이라고 밝힌 것에 대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 뉴시스

김의겸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30일 대통령실이 김건희 여사 명예훼손 혐의로 자신을 고발한 것에 대해 “이번 고발이 계기가 되어 오랫동안 끌어온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의 진실이 투명하게 드러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입장문을 통해 “대통령실이 오늘 저를 서울경찰청에 고발한다고 밝혔다. 혐의는 명예훼손”이라며 “제가 김 여사의 명예를 훼손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김 여사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에 관여했는지 여부가 먼저 밝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김 대변인은 지난 27일 서면 브리핑에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공판에서 김 여사의 이름이 최소 300번 이상 거론됐고 윤 대통령의 장모 최은순씨의 이름도 100번 이상 언급됐다”고 밝혔다. 이어 “여기에 추가로 또 다른 작전주 ‘우리기술’에서도 김 여사, 최씨의 계좌가 활용됐다는 것이 다름 아닌 담당 검사의 입을 통해 밝혀졌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이에 대해 “김 대변인의 서면 브리핑은 터무니없는 거짓”이라고 언론에 공지했다. 그러면서 “공당의 대변인이 금융감독기구 조사 결과 등 객관적인 근거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대통령 배우자가 주가조작을 했다’고 단정적으로 공표한 것은 어떤 핑계로도 정당화될 수 없고 국익에도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한 유감을 표했다.

그러자 김 대변인은 “대통령실은 ‘우리기술 종목이 작전주라는 근거가 전혀 없다’고 주장했다”면서 “하지만 대통령실의 주장이야말로 근거가 없다”고 재반박했다.

그러면서 “최초 보도에 따르면, 우리기술과 관련된 내용은 검사는 물론 판사의 입을 통해서도 제기됐다”며 “판사는 ‘우리기술의 경우도 주가가 너무 낮고 회사가 어려운 상황에서 채권을 소화하려면 주가를 띄워야 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증인이 관여해서 많이 띄웠죠? 경영진이 주가 부양을 요청했나요?’라고 물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판사로부터 질문받은 사람은 이른바 도이치모터스 2차 작전세력의 핵심인물”이라며 “인위적으로 주가를 띄우는 것, 그것이 바로 주가조작이다. 주가가 작전세력에 의해 띄워졌다면 그 주식이 바로 작전주”라고 꼬집었다.

김 대변인은 “그 거래에 김건희 여사 또한 참여한 사실이 밝혀졌는데, 대체 무엇이 허위사실이고 명예훼손인가”라고 반문했다.

김 대변인은 또한 김 여사 관련 의혹에 대해 대통령실이 대응하는 점도 비판했다. 그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은 ‘김건희씨와 윤석열 검사가 결혼한 2012년’ 전부터 벌어진 일이다. 우리기술 거래도 2010년부터 2011년 사이에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2차 작전세력이 주가를 관리하던 시점에 있었던 일”이라면서 “김 여사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에 수도 없이 자신의 이름이 오르내렸지만 단 한마디도 자기 입으로 해명하거나 입장을 내놓은 적이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국민의 혈세로 운영되는 대통령실에서 영부인 이전의 ‘자연인 김건희’의 행위에 대해 즉각 반발하고 법률 대응까지 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경찰에서 고발인 조사는 누가 받고, 변호사를 선임한다면 누구의 돈이 들어가는 거냐”며 “김 여사의 ‘사법 리스크’에 국민의 혈세를 써야 하는 이유가 단 하나라도 있냐”고 반문했다.

김 대변인은 “대통령실은 지난해 9월 김 여사가 증권사 직원과 직접 연락하며 도이치모터스 주식을 사고판 사실이 녹취록을 통해 확인되자 ‘왜곡 보도’라며 ‘강력한 법적조치’를 예고했지만 실제 법적 대응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그러다 이번에 제가 ‘도이치모터스’와 함께 ‘우리기술’을 거론하자 갑자기 요란스럽게 대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기술’이 주가조작으로 직접 언급된 적이 없으니 그것을 빌미 삼아 야당 대변인의 입에 족쇄를 채우려는 것 같다”면서 “이런 반응을 보니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은 사실이겠구나’라고 더욱 확신하게 된다. 저는 맞서 싸우겠다. 숨겨진 진실을 규명해내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김승연 기자 ki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