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FC ‘레드카드’…성희롱 이어 출장비 편취 등 비리 잇따라

입력 2023-01-30 14:00 수정 2023-01-30 15:02

최근 직장 내 성희롱·괴롭힘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 논란이 일었던 도민프로축구단 ‘경남FC’를 들여다봤더니 출장비 부당 수령, 공용차량 사적 이용 등 비리가 잇따라 확인됐다. 축구단에 연간 100억원 안팎의 혈세를 지원하는 경남도는 수사 의뢰, 보조금 회수, 조직개편 등을 통해 경남FC 정상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경남도 감사위원회는 지난해 11월 21일부터 12월 2일까지 경남FC의 보조금 집행실태에 대해 시행한 특정감사 결과 총 9건의 부적정 사항을 적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적발사항을 보면 경남FC 직원 23명은 총 225차례의 무단 출장을 다녀왔다. 직원들은 사전 출장 신청을 받지 않거나 출장 명령 결재받지 않았음에도 출장비 명목으로 1300만원 상당을 부적정하게 받아 챙겼다.

한 직원의 경우 KTX 승차권을 자신의 신용카드로 결제하고 취소한 뒤 환급 전 승차권 영수증을 허위로 제출해 출장비를 타내기도 했다. 확인된 사례만 모두 132차례 759만원에 이른다. 이 직원은 운영비로 결제한 선수·직원 숙소를 지인에게 제공하거나, 본인은 별도의 숙소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숙박비를 챙기기도 했다.

공용차량도 사적으로 이용됐다. 경남FC는 사내 규정을 자의적으로 변경해 2020년 1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공용차량을 361차례 사적 용도로 사용하고, 주유비 등으로 410만원 상당을 부당하게 지출한 점도 확인됐다.

배차 신청·승인 없이 공용차량을 운행하고, 차량 운행일지를 작성하지 않는 등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상황에서 2020년부터 3년 가까이 통행료 및 주유비로 1900만원 상당을 집행한 점도 지적됐다.

야근 수당도 빼돌렸다. 안면 인식기 등을 통한 출·퇴근 기록이 없어 실제 초과근무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데도 직원 24명에게 2020년 1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2800만원 상당의 초과근무수당을 부적정하게 지급한 사실도 감사원 조사에서 드러났다.

경남도 감사위는 이 밖에도 보조금 부당 대체 지급 처리 등 보조사업 집행관리·정산 소홀, 해외 전지훈련 계약 업무처리 부적정, 전자결재 시스템 도입 후 방치 등을 확인했다.

감사위는 경남도 체육지원과에 이런 결과를 통보하고, 출장 여비 부당 지급 및 공용차량 이용 관련 총 2건에 대해서는 수사 의뢰했다. 이와 더불어 경남FC가 소관 부서임에도 지도·감독을 제대로 하지 않은 체육지원과에 주의 조치를 하고, 경남FC로 파견돼 근무한 직원 2명에게는 경징계를, 지도·감독에 소홀한 담당 공무원 등 6명에게는 훈계 처분을 했다.

또 경남FC에서 부적정하게 집행한 보조금 2900만원 상당은 회수하도록 시정함과 동시에 직접 시정이 어려운 5억2800만원 상당에 대해서는 자체 회수방안을 마련하도록 했다.

경남도는 경남FC 정상화를 추진하기로 하고 관련 혁신안을 발표했다. 경남도 제공

◇경남도, 경남FC 정상화 추진…“구단 해체도 검토”

경남도는 이날 경남FC 정상화 방안도 내놨다.

우선 경남FC 구단주는 현재 도지사가 당연직으로 맡게 돼 있지만, 이번 기회에 ‘도지사가 지명하는 사람’도 구단주로 자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연간 100억원의 혈세 지원도 줄이기로 하고 구단의 재정 자립도를 높이기로 했다. 도는 오는 2026년 5월 민선 8기 임기 내 재정 자립화 50%를 달성하고 기업 후원 참여 확대 등을 추진한다. 특히 후원금 유치 확대를 위해 경영진과 직원 대상 목표 관리제를 도입하고, 대신 후원금 유치액의 10%를 성과포상금으로 지급기로 했다.

현재 2부로 있는 경남FC가 민선 8기 임기 내 1부 리그에 진출하지 못하면 구단을 해체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중점 비위행위에 대한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도를 도입, 구단 내 엄정한 기강 확립도 꾀한다.

한편 경남도는 앞서 경남FC 내부에서 제기된 직장 내 성희롱·괴롭힘과 관련해 조사 등을 거쳐 최근 가해자 2명에게 각각 정직 3개월과 정직 2개월 징계를 내린 바 있다.

창원=강민한 기자